술먹으면 기억이 안나는데 원인이 뭔가요? 뇌에 문제인가요?
안녕하십니까.
제가 술을 잘 못먹기는 하지만 마시면 기억이 안납니다.
너무 기억이 끊어지는데요.
이런 증상은 뇌에 문제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콜이 뇌의 해마부위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블랙아웃 현상이 나타납니다 술을 줄이셔야 겠네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혈액 속의 알코올이 뇌세포에 손상을 가하는데,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를 손상시켜 새로운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차단하여 블랙아웃을 유발합니다.
잦은 음주 시 알코올로 인해서 해마 부위를 포함한 뇌 손상이 반복되고, 뇌가 쪼그라들면서 알코올성 치매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금주를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술을 많이 마시면 알콜이 뇌세포에 손상을 주고,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에 영향을 주면서 기억이 안날수가 있다고 합니다. 일회성은 큰 문제 없지만 너무 지속적인 음주는 뇌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기억이 안날정도로 마시는 건 자제하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뇌에 기억을 등록하는 해마라고 하는 부위가 있습니다.
이 부위가 알코올에 영향을 받아서 기억 등록을 못하게 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뇌에 매우 좋지 않은 현상입니다. 기억을 읽을 정도로는 절대로 음주를 하시면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음주 자체를 하지 않으시는게 더 좋습니다.
술은 담배와 마찬가지로 1급 발암물질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음주 후 기억이 끊기는 블랙아웃은 우리 뇌에서 기억을 입력, 저장, 출력하는 과정 중에 입력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에탄올의 독소가 신경 세포들 사이의 신호 전달 과정에 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에탄올은 뇌에 새로운 사실을 기억시키는 수용체의 활동을 방해해서 뇌 신호전달을 하는 글루타메이트라는 신경전달물질의 활동을 멈춥니다. 따라서 뇌의 신경세포에 기억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이런 블랙아웃이 반복되면 알코올성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음주를 아예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으나 꼭 음주를 해야되는 일이 있다면 필름이 끊길 때까지 과음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술을 빠르게 마시거나 공복일 때, 고도수의 술을 먹을 때 블랙아웃이 잘 일어납니다. 음주 시에는 물을 충분히 마시고 안주를 틈틈이 잘 먹어주어야 알코올 흡수를 늦출 수 있습니다. 또 간이 회복될 시간을 주어서 3~4일 정도는 간격을 두고 음주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알콜은 해마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방해하기에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저장하는 것이 되지 않아 다음날 기억이 나지 않고 필름이 끊기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평가 별점 5개 ★★★★★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과도한 음주로 인한 기억 상실은 뇌 손상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지속될 경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은 뇌의 해마 부위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기억 형성을 방해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영구적인 뇌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술을 줄이거나 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경과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5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술 마시게되면 혈줄 알콜 농도가 뇌로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뇌세포 사이 신경전달 물질의 교란을 일으켜 기억이 안나거나 의식수준이 좀 저하되는 변화가 오기도 하며, 해마 라는 조직에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저장하는 부분에도 교란이 일어나 기억력 저하 증상이 나타날수도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