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염인가요 눈다래끼인가요궁금합니다
눈이 부풀어 오르면서 빨갓게 되었고요
가렵고요 합니다
집에약이있는데 알르래기약을 먹어야하나요
다래끼약을 먹어야하나요
주말이라 병원은 월요일날갈꺼에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눈이 부풀어 오르면서 빨갓게 되었고요
가렵고요 합니다
집에약이있는데 알르래기약을 먹어야하나요
다래끼약을 먹어야하나요
주말이라 병원은 월요일날갈꺼에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눈 가려움이 동반되어 있다면, 우선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결막염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실내환경을 개선하고 예방수칙을 철저히 따르는 겁니다.
바람이 많은 봄철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보안경 등을 착용하거나 인공눈물 점안액을 자주 점안하여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물질을 씻어내야 합니다.
콘택트렌즈는 평소보다 더 자주 세척하고, 에어컨, 선풍기 등 냉방기 속 곰팡이와 먼지를 제거하고 카펫 먼지나 동물 털이 날리지 않도록 청소를 자주 해야 합니다.
잘 때 냉방기를 세게 틀거나 창문을 여는 등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바깥에 떠다니는 꽃가루는 꽃가루 예보제 홈페이지(www.pollen.or.kr)를 통해 외출시 참고합니다.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손을 깨끗이 씻으며 눈이 가려울 경우 비비지 말고 냉찜질로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알레르기 결막염 재발이 잦은 환자는 증상이 없는 시기에도 비만세포안정제를 2~4회 점안하여 결막을 항원에 대해 안정시켜 증상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현재 증상만으로는 정확하게 알기 힘들겠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또는 겉다래끼일 가능성이 있지만 안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치료를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결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세균성 결막염과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습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이물감, 눈물, 충혈, 점액성 고름이 발생할수 있으며 대개 편측에서 발생하여 다른측으로 전염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눈물, 이물감, 충혈, 눈부심, 심할 경우 결막하 출혈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가려움, 작열감, 충혈, 붓는 증상 등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눈꺼풀에는 여러 분비샘이 있습니다. 급성 화농성 염증이 발생한 눈물샘에 따라 겉다래끼, 속다래끼라고 하며, 마이봄샘에 생긴 만성 육아종성 염증은 콩다래끼라고 합니다. 겉다래끼는 눈꺼풀의 가장가리의 통증, 붓기, 압통이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 의한 물질들이 배출됩니다. 속다래끼는 겉다래끼보다 깊이 있고 결막면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눈꺼풀이 약간 불편하고 미세한 통증이 있습니다. 콩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 단단한 결절이지만 염증 증상은 없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