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에 나오는 트릴레마에 대하여 좀더 깊이있게 설명 부탁 드립니다.
도덕적 책임감에 대한 상대적 상황에 따른 다른 느낌은 어렴풋이 이해가 되는데 조금 더 깊이 있는 설명을 다른 사례와 함께 말씀 해 주실 분 계실까요?^^
트릴레마는 세가지 문제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나쁜 결과가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센델이 말하는 트릴레마는 사회정의를 실현할 때 자유, 미덕, 공익의 트릴레마에 빠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가 제시하는 정의를 이해하기 위한 3가지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더라도 침해할 수 없는 개인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자유주의, 작가 자신이 추구하는 미덕과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정의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가치 측정의 문제이므로 어떤 일을 추진할 때 공리만을 생각하면, 자유를 침해하게 되고, 자유만을 중요시하면 공리를 등한시하게 되고, 사회적 미덕만을 생각하게 되면 현실적으로 득이 없는 일의 진행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정의로운 사회는 단순히 공리를 극대화한다고 이루어지지 않고, 선택한 자유를 확보하는 것만으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의 영역에 있을 때 좋은 삶의 의미를 함께 고민하고 이견들을 수용하며 궁극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조금 치우치더라도 그것이 도덕적으로 훌륭하며,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다시한번 고민해보고 접점을 찾아간다면 우리가 꿈꾸는 정의로운 사회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 또는 광차문제는 1950년대
영국의 여성철학자 필리파 풋 이 만든 유명한 사고실험으로
인간의 목숨을 숫자로 셀수 있는가
과연 이런 극단적인 상황에서 제3자가 참견해야 하는가
참견 해야 한다면 그것을 처벌해야 하는가 등등
여러 시야로 해석이 가능한 뛰어난 문제라서
윤리학을 포함 매우 많은 분야의 강의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문제에 여러가지 조건을 달아서 응용하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
최근 AI의 발달 때문에 AI가 이런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냐 같은 새로운 접근이 생기기도 했죠
매우 유서깊은 사고실험이라서 분석 영상이나 글도
1분짜리 쇼츠부터 3시간짜리 강의까지 매우 많기 때문에
그냥 유튜브에서 직접 검색해 보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만
그래도 한가지 생각할 거리를 글로 요약해 보자면
트롤리 문제의 조건을
1. 선로 전환기(사소한일)를 당기기만 하면 한 사람이 죽고 다른 5명은 산다
와
2.내가 직접 사람을 기찻길에 떠밀어야 다섯명을 구할 수 있다
로 구분 했을 때
2번은 옳지 않다고 답한 사람이 1번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합니다...만
해당 이야기를 퍼트린 학잔 현재 표절 논란 때문에 반쯤 퇴출되었다고 합니다.
교육의 용의함을 위해 진실성에 의문이 드는 이야기를 계속 퍼트려도 되는 걸까요?
이런식으로 둘 사이의 잣대를 정해야하는 모든 문제가
트롤리 문제의 응용이 될 수 있습니다
직접 자신만의 선을 측정해 보는 것이
해당 질문에대한 제일 좋은 답변이 될 듯 합니다
트릴레마는 세 가지 문제가 서로 얽혀 있어 선택을 할 수 없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딜레마는 두 가지 선택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나쁜 결과가 일어나는 상황이며 트릴레마는 세 가지 선택 중 어떤 것을 선택해도 나쁜 결과가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트릴레마는 경제적 용어로 많이 쓰이는데 국제 경제 및 통화 정책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세 가지 요소인 자유로운 자본 이동, 독립된 통화 정책, 그리고 고정환율을 동시에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