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친절한부엉이971
친절한부엉이97122.12.15

아이가 눈가리고아웅 할때 훈육하는방법이있을까요

아이가 거짓말을할때 효과적으로 훈육하는방법이 있을까요. 아이가 눈가리고 아웅같이 뻔히 눈앞에서 이루어진걸 눈으로 다 봤는데도 핑계를 대면서 거짓말을할때 가끔 황당해서 화가납니다. 이러면 안되는데 나때는 안그랬다는 생각이드는데 어떻게 훈육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부모에게 거짓말을 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바람이나 생각을 그대로 말합니다.

    그래서 아이 자신은 거짓말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거짓말할 때, 거짓말에 대해 야단치기에 앞서 거짓말 뒤에 숨겨진 아이 마음을 먼저 읽는 게 중요해요

    거짓말을 했다고 심하게 다그치거나, 혼을 내기 보다는 거짓말을 했어야 하는 아이의 마음에 먼저 공감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그리고 나서 정확히 사실대로 짚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은 아이의 연령에 따라 그 심각성이 달라집니다. 3~6세 무렵 아이들은 대개 거짓말의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고, 자신의 공상, 바람, 생각 등을 그대로 말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사실과 들어맞지 않아서 거짓말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야단칠 필요가 없습니다. 예컨대 아이가 어린이집의 방마다 괴물이 숨어 있다면서 가기 싫어합니다. 실제로 아이는 상상 속에서 방구석에 숨어있는 괴물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에 대해서는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거짓말 한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아이가 거짓말을 할수 밖에 없었던 상황에 대해서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이후에 거짓말이 안좋다는것을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주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위로를 받고, 거짓말을 하면 실망을 한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셔야 합니다.

    보통은 부모가 평소에 실수에 대해 화를 많이 내면 아이가 거짓말을 방어기제로 습득하게 됩니다.

    아이의 실수를 나무라거나 화내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아이가 실수를 한다면 솔직히 말하도록 하고, 왜 실수했는지 물어보고, 괜찮다고 위로해주세요.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고맙다고 하고, 거짓말 하는 것은 안된다고 언급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4~5세에 의도적이지 않은 목적없는 거짓말을 많이 하곤합니다. 보통 학교들어갈 무렵 사라지는데 의도성 가진 거짓말은 주의깊게 살펴 보심이 좋습니다.

    방어기제에 의해 거짓말을 하거나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절대 흥분하거나 화를 내서는 안됩니다. 거짓말을 들키게 되면 아이는 당황하고 점점더 거짓말을 하게 되는데 아이가 솔직한 말을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유도해 주셔야 합니다. 거짓말을 인정하고 진실을 얘기했을 때 꼭 칭찬해 주고 거짓말이 나쁜 것임을 아이에게 설명해 주셔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한 행동을 혼내기 보다는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거짓말을 한 행동을 혼내시길 바랍니다.

    거짓말이 더 나쁘다는 인식을 심어주셔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