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고유종은 무엇인가요?
현재 갈라파고스제도에만 서식하는 대표적인 고유종이 있을텐데요 이런 대표적인 고유종에는 어떤것들이 있고 간략한 특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대표 고유종으로는 갈라파고스거북, 해마늘도마뱀, 다윈핀치라는 종이 여기에 해당이 된답니다.
네, 갈라파고스 제도는 지리적 고립 때문에 수많은 고유종들이 독자적으로 진화해왔습니다.
갈라파고스 자이언트 거북의 경우 지구상에 서식하는 거북 중 장수거북 다음으로 몸집이 크며, 평균 수명이 100년 이상으로 매우 오래 사는 종입니다. 특히 섬마다 등껍질 모양이 다르게 진화했는데, 이는 먹이를 얻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죠. 예를 들어, 땅에 있는 풀을 뜯는 종은 등껍질이 돔형이지만, 선인장 등을 먹기 위해 목을 길게 빼야 하는 종은 등껍질 앞부분이 안장처럼 굽어 있습니다.
또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의 경우 몸길이가 최대 1.5m에 달하는 대형 도마뱀으로, 주로 선인장의 꽃과 열매를 먹는 초식성입니다. 낮에는 화산암 위에서 일광욕을 하며 체온을 올리고, 밤에는 굴속에서 잠을 자며 체온을 유지합니다. 수명은 60~69년 정도입니다.
갈라파고스 바다 이구아나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바닷속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해양성 도마뱀입니다. 험상궂은 외모와 달리 주로 바닷속 해초를 먹는 초식성입니다. 바닷물을 통해 섭취한 과도한 염분은 코처럼 생긴 특별한 기관을 통해 뱉어내죠. 수중에서 최대 40분까지 숨을 참을 수 있으며 20m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는데, 바다에서 체온이 떨어지면 육지로 나와 일광욕을 하며 체온을 올립니다.
갈라파고스 펭귄은 적도 부근에 서식하는 유일한 펭귄 종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작은 펭귄입니다. 훔볼트 해류를 타고 흐르는 어류를 먹이로 삼으며, 작은 몸집에 짧은 깃털로 덮여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현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갈라파고스 핀치새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큰 영감을 준 새로 유명합니다.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13종류의 핀치새가 서식하며, 각 섬의 환경과 먹이에 따라 부리 모양이 다양하게 진화했습니다. 열매를 먹는 핀치새는 굵고 강한 부리를, 꽃을 먹는 핀치새는 길고 날카로운 부리를, 바위틈에서 먹이를 찾는 핀치새는 섬세하고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죠.
이 외에도 갈라파고스 가마우지, 즉 날지 못하는 가마우지라던지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푸른발부비새 등 다양한 고유종들이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고유종으로는 갈라파고스 땅거북, 갈라파고스 펭귄,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 바다 이구아나, 갈라파고스 물개,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푸른발 부비, 다윈 핀치 등이 있습니다. 갈라파고스 땅거북은 대형 거북으로 섬마다 다양한 변종이 있으며, 갈라파고스 펭귄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작은 유일한 열대 종 펭귄입니다.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는 주로 선인장을 먹고, 바다 이구아나는 해안에 서식하며 해초를 먹습니다. 푸른발 부비는 파란색 발이 특징이며, 다윈 핀치는 섬마다 부리 모양이 달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종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핀치새, 육지 이구아나, 바다 이구아나, 갈라파고스 거북, 푸른발 부비새, 갈라파고스 펭귄 등 고유종이 서식하며, 이들은 섬의 고립된 환경에서 각기 다른 생태적 특징과 적응을 통해 진화한 독특한 생물들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