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수학을 싫어해서 한달 용돈을 올려주고 공부시켜볼 계획입니다
아이가 수학을 너무 싫어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한달 용돈을 많이 올려주고 제가 정해준 수학 미션이나 문제집을 풀면 올려준 용돈을 주고 그렇지 못하면 용돈을 올려주는건 취소한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수학공부를 용돈 올려주는 매개로 시켜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수학 이라는 학습을 싫어 한다고 해서
용돈을 올려주는 보상으로 수학 학습의 흥미를 올리려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아이에게 먼저 알려주어야 할 것은 수학 이라는 학습을 해야 하는 그 학습적인 동기를 먼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하게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수학의 흥미,관심을 유도 하고자 한다면 놀이 및 게임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로 도움이
되겠습니다.
보상은 물질적인 것보다는 말 한 마디의 칭찬을 해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수학을 싫어애서 용돈을 올려주는 보상으로 공부를 시켜볼 계왹인 것 같습니다.
용돈을 통한 동기부여의 장점은
즉각적인 동기 유발, 성과에 대한 인식 강화, 자기관리 학습의 시작점 등이며
단점은
외적 동기에만 의존, 보상 없으면 학습 중단, 학습 자체의 즐거움이 사라짐, 부정적 감정 강화 가능성 등입니다.
좀 더 효과적인 접근법은
작은 성공 경험 제공, 내적 동기 유도, 보상은 보너스로 함께 하는 시간 만들기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상으로 동기 부여를 하는 방식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내적 동기 형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상 이외에도 아이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쉬운 문제부터 접근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면 싫어하는 감정도 점차 줄어들 수 있어요. 보상은 결과가 아닌 노력에 초점을 맞추는 게 바람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수학 공부를 용돈과 직접 연결하는 방법은 단기적으로는 동기 부여가 될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돈을 위해 억지로 하는 공부'로 인식돼 학습 흥미를 떨어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보상은 공부 그 자체보다 성취나 노력에 대한 칭찬, 경험으로 주는게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