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주가에 있어 40의 법칙이 무엇인가요?

경제 기사를 보는데 내용에서 40의 법칙이란 말이

나오더군요. 특정 종목은 이걸 넘어섰다는 내용이던데 주가에 있어 40의 법칙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은 주로 SaaS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투자 매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이 법칙은 기업의 매출 성장률과 이익률을 더했을 때 그 합이 40%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0의 법칙은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 기업이 마주하는 성장과 수익성이라는 두 가지 상충되는 목표 사이의 균형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두 지표의 합이 40% 이상일 경우, 그 기업은 건강하고 효율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고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Rule of 40)은 성장률(Revenue Growth %) + 영업이익률(Profit Margin %) ≥ 40%면 우량 기업으로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주로 IT·SaaS 기업 분석에 사용되며, 고성장·흑자 전환 가능성을 가늠하는 잣대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Rule of 40)"은 사실 주식 시장 전체에 쓰이는 일반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특히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 같은 고성장 IT 기업을 평가할 때 자주 쓰이는 지표입니다.

    원리는 단순합니다. 기업의 매출 성장률(%)과 영업이익률(%)이 40보다 크거나 같다면, 재무적으로 건강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출 성장률이 30%인데 영업이익률이 10%라면 합계가 40이죠. 혹은 당장은 적자(-10%)여도 매출 성장률이 50%라면 합계 40을 넘기 때문에 장기 성장성이 크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 지표가 중요한 이유는, 성장성과 수익성 사이의 균형을 한눈에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빠르게 성장하지만 적자가 심한 기업도 있고, 안정적으로 이익은 내지만 성장은 둔화된 기업도 있는데, Rule of 40은 이 두 요소를 모두 고려해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간단한 기준이 됩니다.

    즉, 특정 종목이 40의 법칙을 넘겼다는 표현은, 그 기업이 고성장과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해,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평가받았다는 뜻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래는 이 법칙은 실리콘 밸리에서 스타트업 생존력을 가늠하는 지침으로 나온 건데, 요즘은 증시 기사에서도 슬슬 쓰이기 시작하고 있다는 점이 재밌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이라는 건 원래는 스타트업이나 성장 기업 평가할 때 많이 쓰는 지표라고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매출 성장률에다가 이익률을 더했을 때 합이 40 이상이면 안정적인 성장과 수익을 동시에 잡고 있다고 보는 기준이죠. 예를 들어 매출 성장률이 30인데 이익률이 15라면 합이 45가 되니 기준을 넘어선 겁니다. 반대로 성장률이 아무리 높아도 적자가 심하면 합계가 낮아져서 통과 못 하는 식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기사에서 특정 기업이 40의 법칙을 넘었다고 하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인정받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매출액 성장율과 마진율을 더해서 40이 넘게되면 해당 기업은 매우 튼튼하여

      앞으로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으로 분류가 됩니다.

    • 이러한 기업은 성장이 고도화 되면서 마진도 높기 때문에 고속성장이 가능하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은 고성장 기술 기업, 특히 소프트웨어와 같은 무형자산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즉 결론적으로 40의 법칙은 기업의 매출 성장률과 수익성 지표를 합산한 값이 40% 이상이어야 한다는 평가 기준입니다.

    즉 매출 CAGR과 수익성지표는 영업이익률이나 EBITDA 마진 등을 고려해서 보시면 되며 결국 이런 형태의 기업은 매출이 안정적인 구조를 가져야 하며 일종의 구독경제 서비스를 갖추고 있고 경기사이클에 상대적으로 덜민감한 빅테크나 소프트웨어 비지니스가 이러한 형태의 법칙에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에서 40의 법칙은 영업이익률과 매출성장율을 합산한게 40 을 넘는걸 말합니다

    40프로 넘어가면 대단한 기업이라고 하는데 팔란티어가 올해 2분기 실적이 94프로가 나와서 기사화 많이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에 있어서 40의 법칙은 이동평균선 40을 말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이평선은 5 20 60등으로 쓰기도 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이평선의 수치를 조절해스 사용하기에 20과 60사이의 수치인 40을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보다 빠른 변화를 확인할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주식이나 코인을 하시면 해당되는 수치로 변경하여 사용해보시는것도 좋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가에서 40의 법칙에 대한 내용입니다.

    40의 법칙이란 매출 성장률과 수익성의 합이

    40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법칙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출성장률과 영업이익률이 40%가 넘는 알짜배기 종목 진짜 성장주를 일컫는 말입니다.이런종목은 보석이죠.미래성장주이고 찾아내고 보유하면 수익은 따르기 때문에요 초기 성장주라고 할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40의 법칙(Rule of 40)이란 투자 및 기업 평가 지표로, 매출액 성장률과 EBITDA(이자·세금·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마진을 합산해 40% 이상이면 건강한 성장 궤도에 있다고 판단하는 공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