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기운찬바위새103
기운찬바위새10323.03.22

비오는날 미세먼지가 좋아지지않는 이유가 먼가요?

청소할때도 분무기뿌리면 먼지가 제거된다고 하잖아요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날도 미세먼지가 나쁨인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오는 날 미세먼지가 좋아지지 않는 이유는 복잡합니다. 비가 내리면 대기 중 미세먼지를 일시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더 나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1. 염분의 영향: 비가 내려 대기 중 미세먼지를 제거하면 물에 녹아 적게는 바로 하수로로, 많게는 지하수와 강 등으로 유입됩니다. 그러나, 도로 등에서 사용되는 염분이 비와 함께 유입되면 물에 함께 녹아 염분농도가 높아집니다. 이 경우, 이산화질소와 황화합물과 결합하여 유해한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2. 대기순환의 영향: 비오는 날 대기순환이 약해지면서 대기 중 미세먼지가 분산되지 않고 쌓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이동성 오염물질의 영향: 일부 미세먼지는 외부에서 발생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유입됩니다. 비가 내리는 날에는 외부와의 연결이 끊어져 이동성 오염물질이 분산되지 않고 농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비오는 날 미세먼지가 좋아지지 않는 이유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복잡하며,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 논문을 찾아보고 내가 알고 있는 한 가장 미세먼지가 심한 중국. 중국에서 발표한 논문을 찾아본 결과 평균 강수 세정률을 보면 미세먼지 입자가 작을 수록 떨어집니다. 즉 빗물이 내리는 간격보다 미세먼지가 더 작다는 겁니다. 그래서 빗물이 내려도 빗물 간격 사이 사이에 있는 미세먼지는 씻겨 내려가지 않는다. 비가 내려도 미세먼지 감소율이 30%도 넘지 못한다. 즉 우리는 비가 와도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써야된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이는 비가 내리면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일시적으로 지표면으로 희석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미세먼지가 높은 농도로 쌓인 대기 상층과는 다르게 지표면 근처의 대기는 비가 내리면서 무거운 물방울과 함께 상대적으로 깨끗한 대기가 대체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는 날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가 내리는 것에 대한 미세먼지의 반응

    비는 공기 중에 떠있는 미세먼지를 땅으로 내려놓게 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는 비와 반응하여 물방울 안에 포함되어 대기 중에 머물게 됩니다. 이 경우 물방울 안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공기 중에 유지되므로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지 않습니다.

    1. 비의 양이 부족한 경우

    적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 미세먼지가 땅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대기 중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는 비가 내리기 전에 미세먼지가 충분히 많이 쌓여 있었거나, 비가 짧은 시간에 쏟아지는 경우에 특히 나타납니다.

    1. 바람의 영향

    비가 내리는 동안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비와 함께 미세먼지가 공기 중에 섞여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많은 지역에서 비가 내려도 바람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확산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가 내리는 경우라 할지라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그리고 물로 청소하는 것도 효과적인 대처 방법 중 하나이지만,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실내에서 환기를 자제하는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대기 중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비 자체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비가 내리면서 미세먼지가 지면에 묻어나가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합니다. 하지만 비의 양이 많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묻어나갈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일시적인 감소만 있을 뿐,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비오는 날 대기 중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서 미세먼지 입자가 물에 흡수되어 더욱 무거워집니다. 그래서 비오는 날에는 일반적으로 미세먼지의 크기와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비가 강하지 않고, 상대 습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져도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습니다.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나 공장 등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하면 비가 내리는 동안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오는날 미세먼지가 줄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비가 내리면 대기 중의 미세먼지는 지면으로 향하게 되어 지표면에 고여있는 미세먼지와 결합하여 스며들어 갑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으며, 일부는 땅바닥으로 스며들지 않고 대기 중에 머무르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내려도 모든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둘째, 비가 내리면 대기 중의 미세먼지는 일시적으로 지면으로 침전되어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는 일시적으로 낮아집니다. 그러나 바람의 방향이나 강도, 비의 양과 지속 시간 등에 따라 미세먼지가 지면에서 발생하거나 다른 지역에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지는 않습니다.

    셋째,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이 여러 가지인데, 비오는날에도 자동차 등의 대기 오염원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오는날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줄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조금은 줄어들 수 있지만, 이는 비로 인해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지면으로 적시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현상에 의한 것입니다. 비는 농도가 높은 미세먼지를 대기 중에서 적시할 수 있지만, 이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보다는 적시되는 양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이라고 해서 반드시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비가 내린 후 바람이 불어 오는 경우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바람이 불면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다른 지역에서 이동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청소나 분무기 등의 물리적인 방법 뿐만 아니라, 대기 오염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산업 및 교통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비의 양 때문 입니다. 어정쩡하게 내리는 비는 미세먼지를 상공에서 씻겨 깨끗하게 없어지지 않거나 상공으로 내려 더많은 미세 먼지가 보이게도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