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자국 보호주의를 중심으로 자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어떤 외교정책을 모색하고 있을까요?
미국도 자국 보호주의를 중심으로 자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어떤 외교정책을 모색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바이든 정부를 만났을 때에는 가서 노래를 불렀다고 하지요 그냥 시키는 대로 하고 있습니다 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체급이 열 체중이나 더 많이 나오는 사람과 붙게 되면 방어만 하거나 도망갈 거야 합니다 협성을 한다고 해도 별도로 카드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지금 국가 원수가 사실상 부재한 상황이라서(탄핵정국) 국내 경제 활성화 정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원달러 환율은 걷잡을 수 없이 오르고, 국내 증시도 폭삭 주저 앉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리더의 부재상황이기 때문에 외교정책을 따로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그저 우리나라 내부에 있는 정치 상황부터 정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120년 전에 을사늑약을 맺었을 때도 우리나라 내부 정치가 문제였기에 일본이라는 외세가 침입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었습니다
지금의 상황도 그 때와 크게 다르지 않기에 하루빨리 정리가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정치적 혼란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이라 본격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지는 않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으로는 줄건 내주고 받을건 받자라는 마인드와, 개별적인 협상을 통해서 최대한 유리하게 이끌자는 전략이 낫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다자간 협력과 경제 안보 강화를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안정과 수출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EU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아세안 중동 등 신흥 시장과의 경제 외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어떤 외교 정책을 모색하고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로선 아쉽게도 우리나라 정부가 제대로된 역할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일본의 리더십 변화는 우리나라에게는 도전이자 기회라고 말하며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외교 전략을 펼쳐랴 한다는 기조로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 국가하는 국가 비젼 아래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자주의,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한국은 국익을 중심으로 유연한 태도의 외교 원힉과 실용외교를 추구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