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해가지지않아45
해가지지않아45

문학에서 리얼리즘이 산업화 시대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문학에서의 리얼리즘과 관련하여, 리얼리즘 문학이 사회를 비춘다고들 합니다. 리얼리즘이 산업화 시대에 반영된 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1970년 이후 한국 현대문학에서도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며 다양한 특징이 있습니다. 산업화로 인해 급격하게 경제는 성장하였지만 그로 인해 간과했던 인간과 사회의 부적응에 대해서는 간과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내용의 실상을 반영하고 사회에 참여하려는 것으로 리얼리즘의 가치가 대두되었습니다. 이러한 리얼리즘의 가치가 투영된 방향이 모더니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 문학의 예로 들어보면

    산업화와 인간 소외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한 빈부 격차, 도시 빈민 문제, 노동자 착취 등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었습니다. 이에 문학에 있어서 산업화로 인한 인간 소외, 비인간화, 삶의 황폐화의 실상이 그대로 반영이 되었고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이 있습니다.

    한국의 산업화는 실질적으로 군부독재 하에 이루어졌기에 경제적으로는 성장하였으나 그 방향이 민주적이라고 볼 수는 없었습니다. 이에 산업화와 함께 민주화 운동과 저항 문학이 1970~1980년대에 대두되었습니다. 군사 정권의 억압과 이에 대한 민주화 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의 문학은 사회 비판과 저항의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옹호하는 작품들이 등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김지하가 있습니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하게 되었는데 1980년대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이 문학에 영향을 끼치며 전통적 서사 방식을 탈피한 작품들이 등장했습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파편화된 이야기, 복합적인 시점, 현실과 환상의 혼합, 개인의 정체성과 욕망을 탐구 등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은 사회적 현실을 사실적으로 드러내면서 그 속에 내재한 모순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둡니다. 산업화가 진행되던 시기에는 도시화와 공업화, 농촌의 해체,계층 간 격차와 빈부 불균형, 노동문제 등이 심각한 사회현실로 부각되었는데 사실주의 문학은 이를 구체적인 인물과 사건을 통해 생생하게 묘사했습니다. 특히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올리 작은 공' 등의 작품에서는 도시 빈민이나 노동자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어 산업화가 남긴 상처를 보여주고 농촌 붕괴나 가족 해체, 인간 소외와 같은 문제를 통해 구조적 불평등을 비판했습니다. 이처럼 사실주의는 개인의 고통을 단순히 사적인 문제로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의 모순과 연결해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현실을 성찰하도록 했습니다. 사실주의 문학은 사실적인 묘사와 비판적 시선을 통해 산업화 시대의 어두운 이면을 폭로하고 독자에게 사회적 문제를 직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리얼리즘이란 사실주의를 말하는데 산업시대 즉 러시아혁명 전 《제국의 황혼》 시대에 집필된 많은 러시아 거장들의 문학작품을 읽으면 당시 생활고로 고통받던 민중들의 모습이 아주 자세하게 묘사되고 있습니다.

    • 즉 소설의 서사적 측면을 넘어서 사회고발 비판적인 성격도 함께 내포되어 사회개혁의 불씨를 당기는 문학의 사회적역할을 수행하는 단초가 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