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세포 연접에서 간극연접과 원형질 연락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세포 연접에서 동물세포에서의 세포 간 이온통로에 해당하는 간극연접과 식물세포에서 나타나는 원형질 연락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간극연접은 단백질 채널로 세포막만 연결해 이온, 소분자만 빠르게 통과시키는 구조랍니다.

    원형질 연락사는 세포벽까지 관통하며 막, 세포골격이 포함돼 통로 크기를 조절, 단백질 등 큰 분자도 이동시킬수 있답니다.

  • 말씀하신 대로 동물세포의 간극연접과 식물세포의 원형질 연락사는 인접한 세포 간 물질 및 신호 교환 통로라는 공통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조와 기능에서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간극연접은 세포막에 있는 커넥신 단백질들이 모여 형성되며, 세포벽이 없는 동물세포에서 두 세포막을 직접 연결합니다.

    반면, 원형질 연락사는 두꺼운 세포벽을 관통하는 통로로, 통로 내부에 세포막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고, 중심에는 데스모튜불이라는 내형질막 구조물이 있습니다.

    기능적으로 본다면 간극연접은 이온이나 작은 분자만 통과시키는 반면, 원형질 연락사는 더 큰 분자들인 특정 단백질과 RNA까지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극연접은 주로 신속한 신호 전달에 관여하고, 원형질 연락사는 식물체 내 장거리 물질 수송과 발달 과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간극 연접과 원형질 연락사의 가장 큰 차이는 구조와 통과시키는 물질의 크기에 있습니다. 간극 연접은 두 동물세포의 막에 있는 단백질 채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통로로, 이온이나 아미노산 같은 작은 분자들만 수동적으로 이동시킵니다. 반면, 원형질 연락사는 식물세포의 세포벽을 관통하여 세포질 자체를 직접 연결하는 막 구조물이며, 데스모튜불이라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통로의 크기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단백질이나 RNA 같은 거대 분자까지 선택적으로 수송할 수 있습니다.

  •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동물세포의 간극연접과 식물세포의 원형질 연락사는 둘 다 세포 간 직접적인 통로 역할을 하여 작은 분자나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구조적 기원과 작동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간극연접이란 동물세포에서 관찰되는 세포 간 이온통로인데요 넥신 단백질이 모여 육각형의 통로 단위를 이루며 이를 통해 인접 세포의 세포질이 연결됩니다. 이 통로는 선택적으로 열리고 닫히며, 세포 간에 이온, 작은 대사물질, 2차 전달자(cAMP, Ca²⁺ 등)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예시로 심장 근육세포에서 활동전위가 빠르게 전달되는 것도 간극연접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극연접은 막 단백질 복합체가 세포막을 직접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라는 보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식물세포가 가진 원형질연락사란 식물 세포벽을 뚫고 있는 세포질 연결 통로인데요, 이 통로 내부에는 소포체의 연속 부분이 포함되기도 하며 세포질끼리 직접 연결되어 RNA와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까지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식물은 세포벽이 단단히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과 같은 간극연접을 형성할 수 없고, 대신 세포벽을 관통하는 원형질 연락사가 세포 간 신호전달과 대사물질 교환의 주요 경로로 작용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단백질 복합체가 원형질 연락사의 구멍 크기를 조절하여 이동 가능한 분자의 범위를 바꿀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