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상승해도 월급이 안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물가가 상승해도 월급이 안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물가가 상승했다면 회사에서 파는 물건들 가격도 다같이 올랐을건데요 그럼 받는 월급도 같이 올라야지 정상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임금은 기업의 자율권이고 물가와 다르게 매우 경직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임금은 연단위로 조정이 되며 물가는 실시간으로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위에서 말한것처럼 기업들은 경쟁이 치열하고 현재 대기업을 제외한 국내의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채산성악화와 이익도 줄면서 어려움에 빠져있습니다. 즉 그렇기 때문에 임금을 물가가 상승하는만큼 바로 올려주기도 힘들고 기업이 자율적으로 하는구조이기 때문에 월급이 자유롭게 오르는 구조가 아닙니다.
또한 일부 대기업들같은 경우 일부 직원들이나 주요 인력들에게는 물가보다 더 많은 임금이나 성과급을 주기 떄문에 이들 같은 경우는 물가보다 더 빠르게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노동시장의 구조와 재화의 시장 구조가 완전히 다른 체계이기 때문에 똑같이 오르는 구조라고 보시면 안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름에 따라서 최소 시급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최저 시급에 따라서 급여도 올라가게 되지만 물가가 올라간 것만큼 오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임금이 물가 상승률과 같이 오르게 되면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게 되어 기업의 운영이 원활치 않기 때문에 올라간 물가에 상응하는 만큼의 급여가 오르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어떤 직종에서는 물가 상승률만큼의 급여가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상승해도 월급이 안오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업은 비용을 쓰는 것에 인색하고
인건비가 기업이 쓰는 비용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월급을 올려주지 않는 것입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