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22.07.05

미국 자치령인 푸에르토리코는 왜 파산을 했나요?

푸에르토리코는 카리브해 제도에 위치한 미국 자치령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올해 파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미국 자치령인데 어떻게 파산을 하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푸에르토리코는 06년부터 경제 상황이 좋지 못했습니다. 실업률도 증가하였구요 그에따른 인력들이 대거 이주를 하고 자치령 재정위기에 연방정부의 도움이 필요한부분인데 당시 트펌프가 민주당 유권자들의 세금으로 구제를 한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있었는데 그에 따른 미국 공식주로 편입될지여부가 투표로 계속진행되는 상황이었습니다. 3월기준 푸에르토리코가 5년만에 파산상태에서 벗어났다는 뉴스보도가 있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6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중반기부터 1990년대 중반기까지 자치령에서 미국 기업이 생산한 물품에 대해 연방세를 면제하기로 법안이 적용되었고 이러한 특혜를 바탕으로 상당한 경제성장세를 보였지만 1990년대에 특혜법안이 폐지되면서 푸에르토리코로 진출했던 기업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하며, 푸에르토리코의 경제는 말 그대로 활력을 잃어버렸고 기업들이 푸에르토리코에서 빠져나가는 바람에 푸에르토리코에 질 좋은 일자리들이 사라지면서 젊은층들은 미국 본토로 빠져나가고, 거기에 더해 저출산으로 인해 푸에르토리코의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면서 푸에르토리코의 경제는 좀체 불황에서 빠져나올 줄 몰랐고, 세수기반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푸에로토리코와 같은 경우에는 1970년 중반기 ~ 1990년대 중반기 사이에 미국 기업이

    생산한 물품에 대하여 연방세를 면제하기로 한 법안이 적용되어 특혜를 통하여

    90년대 특혜법안이 폐지되고 이에 기업들이 빠져나가면서 어려워졌고 2015년도

    채무불이행사태 및 이로써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하여 파산을 하게 되는 등 경제에 어려움이 커진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