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기운찬바다사자49
기운찬바다사자4922.04.30

장기적으로 봤을때 주택가격이 내려갈까요?

부동산 가격이 매년 상승을 했는데

요즘 조금씩 아파트값이 떨어지고 있는 것같아요

아파트 등 부동산 거품이 언제까지 갈까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지금 주거 목적, 투자 목적 집을 사는게 맞을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5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에 주택 매매 심리가 되살아난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재개발 등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전월보다 7포인트 상승한 104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주택가격은 점차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인플레이션 수준으로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구요. 단, 지역에 따라 많은 편차를 보일것으로 예상되는게 사실입니다. 지금도 지방의 군, 시는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반면 강남은 상승하고 있으니까요

    또한, 현재는 부동산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니 투자의 목적보다는 주거의 목적으로 매매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파트로 대표되는 주택가격은 원래 '건물'의 개념으로서 감가상각이 이뤄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 가격이 하락해야 정상입니다.

    그러나, 인구수가 줄어듬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주거형태가 점점 작아지게 되고, 그때문에 주택은 계속적으로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 집중현상으로 수도권이나 서울의 집값은 시간이 떨어지지 않고 오르게 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물론 전국토적으로 보았을때 주택가격은 떨어지는 지역이 생겨날 수 있겠지만 서울이나 수도권 특히 교통망이나 주거환경, 일자리가 많은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주택 가격은 지역마다 가격차이 및 변동폭이 심하기해 꼬집어서 말하기기 어려운데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세는 있을수 있으나 소비자 물가상승등 원유가격 및 원자재 가격 상승.임금상승등은 건설비 상승으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 새로운 정부에서 어느정도 정책을 펼칠지 그에따른 인플레이션이 저감되는 쇼과가 있을지는 미지수 있니다. 대선 및 집값등 부동산 문제는 해년마다 감초처럼 나온얘기로 상위 20프로가 전체부동산 80프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통계도 있듯이 개인적으로는 비관적이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품은 이제 곧 꺼질 겁니다. 물론 수직낙하 정도는 아니겠지만 다소 급격하게 떨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장기적으로는 주거 목적 집을 사시는 것을 권합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투자목적 집 구입에 비관적인 이유도 있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