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선량한사자74
선량한사자7421.06.02

임산부 영양제 섭취로 고민입니다.

임신 15주차입니다.

영양제로 비타민D, 종합비타민, 오메가3, 유산균, 철분제 이렇게 먹고 있습니다.

이 영양제들을 아침,점심,저녁으로 어떻게 배분해서 먹는게 좋나요?

그리고 종합비타민에 철분이 35mg, 보건소에서 받은 철분제에 철분이 35mg있는데 둘이 합치면 70mg이되는데 과다복용은 아니지 궁금합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철분은 괜찮을것 같습니다. 다만 변비의 부작용이 너무 심하면 둘중 하나만 드세요. 철분제는 점심식전 공복에 드시고 유산균은 저녁에 드시고 나머지 영양제는 아침식직후에 드세요.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타민D, 종합비타민, 오메가3, 유산균, 철분제

    유산균은 복용시 위산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하여 파괴되는 비율을 적게 하기 위해 공복에 복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침공복이나 취침전 공복에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비타민D, 종합비타민, 오메가3는 위장장애를 예방하고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식후 복용을 권장드립니다.

    15주차부터는 체내 철분요구량이 늘어나는 시기로 종합비타민과 중복하여 복용하여도 크게 문제는 되지 않은나 철분제를 많이 복용시에 변비 부작용이 나탄날 수 있어 그 경우 철분제 용량을 조절하여 복용하시길 권장드리며 철분제의 경우 종합비타민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과 성분이 있는 경우 흡수가 방해 받기에 시간대를 다르게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아침 공복 : 유산균

    2. 점심 식후 : 비타민D, 종합비타민, 오메가3

    3. 저녁 식후 : 철분제

    -유산균은 공복에 먹어야 장에 잘 정착하고, 철분은 다른 미네랄과 같이 먹으면 흡수율 떨어집니다.

    -종합비타민에 철분 35mg 들어있으면, 보건소에 받은 철분제 드시지 않아도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위장장애가 없다면 다 같이 드셔도 무방합니다.

    식사 하시고 드시는게 좋구요.

    철분제의 경우 식전으로 드시는게 흡수율이 좋기 때문에 식전으로 드시는데

    속이 너무 불편하다면 식후로 드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산균은 아침 공복에 복용하시고, 그 이외의 영양제들은 다같이 식후에 복용하시면 됩니다.

    철분제의 경우 페리틴, 헴철, 건조황산제일철 등 성분에 따라 철분 함량이 달라지는데, 정확하게 Fe의 함량이 11~13정도가 1일 권장량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복용하시는 철분제에 들어있는 Fe함량을 확인한 뒤에 복용 여부를 결정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타민D, 종합비타민, 오메가3, 유산균, 철분제 의 경우 종합비타민제와 철분제는 시간간격을 두고 복용하시는 것이 좋고, 유산균은 공복 복용을 권장드립니다.

    철분제 합쳐서 70mg은 다소 많은 양으로 생각됩니다.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연령대 별로 권장섭취량에 차이가 있다. 50~64세(남자 10mg, 여자 8mg), 65~74세(남자 9mg, 여자 8mg), 75세 이상(남자 9mg, 여자 7mg)으로 정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