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리츠 종목중에 부동산 (건물 ) 말고 땅같은 곳에 투자를 하는 리츠도 있는가요
제가 알기로는 우리나라 리츠 종목중에 대부분 부동산에 즉 건물에 많이 투자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건물말고 다른곳에 투자를 하는 리츠 종목도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리츠의 경우 부동산 외 토지도 취득이 가능합니다. 단, 토지의 경우 해당 자산을 근거로 배당을 지급할수 없기 떄문에 상장리츠중에서는 토지를 투자하는 리츠는 없고 비상장리츠에는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리츠의 경우 건물인 물건에 투자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러한 것은 리츠의 주류로 이는 수익형 부동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건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호텔이나, 쇼핑몰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토지에 간접적인 투자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습니다. 극히 드물지면 이러한 토지에 투자를 하는 방법은 개발을 진행하는 사업과 연계한 프로젝트 등에 자금으 투입하는 바업으로 간접적인 투자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지 자체에 직접 투자하는 리츠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개발사업형 리츠” 또는 “토지 리츠”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실제 상장 리츠의 대부분은 오피스, 리테일, 물류센터, 주거 등 수익형 부동산(건물 등)을 보유 및 임대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위탁관리리츠, 자기관리리츠 모두 일반 부동산과 개발사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리츠(예: 롯데리츠, 신한알파리츠, 이지스리츠 등) 대부분이 위탁관리리츠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해당 리츠의 사업 현황을 보시고 투자 여부를 판단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땅에 투자하는 리츠도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토지에 투자하는 리츠들도 있다고 하며
맥퀄리 인프라, 신한알파리츠, SK 리츠 등이
토지에도 투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진짜 대부분은 건물 중심 맞습니다 사무실이나 물류센터나 상가 같은 데 투자하는 게 흔한데요 땅 자체에 투자하는 리츠는 거의 안 보입니다 이유가 뭐냐면 땅만 가지고는 임대수익이 안 나니까요 리츠는 수익을 배당하는 구조다 보니 그냥 보유만 하는 토지에는 잘 안 들어가려고 합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개발 예정지나 장기적 가치 상승을 노린 땅에 간접투자 형태로 엮이는 경우도 있긴 한데 진짜 흔하지는 않은 구조입니다 투자하려면 수익 모델이 돌아가야 하니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리츠는 주로 건물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지만, 토지 자체에 투자하는 리츠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 운용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입니다. 여기서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은 단순히 건물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개발형리츠는 토지를 매입하여 건물을 개발하고 임대수익이나 매각차익을 추구하는 형태의 리츠도 있습니다. 이 경우 토지 자체가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됩니다. 특히 LH 등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공공임대리츠의 경우, 토지를 확보하여 임대주택을 건설하는 형태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리츠는 대부분 건물에 투자하게 됩니다. 하지만 토지개발형 리츠도 존재하며 땅을 사서 개발 후 임대 또는 매각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흔하지는 않으나 건물 외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류센터나 토지 지분에 투자하거나 해외 프라임 오피스 빌딩에 투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외 데이터센터나 풍력발전소, ESS 등에 투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리츠는 대부분 상가, 오피스, 물류센터 같은 건물 위주로 투자하는 게 맞습니다. 근데 땅, 그러니까 토지 자체에만 투자하는 리츠는 아직 많지 않고 사실상 거의 없는 편입니다. 이유는 토지 자체는 임대수익 창출이 어렵다 보니 리츠 수익 구조랑 잘 안 맞기 때문입니다. 대신 개발형 리츠처럼 토지를 매입해서 나중에 개발 수익을 노리는 구조는 간혹 있는데 이런 건 아직 시장에서 그렇게 활발하진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상장 리츠 대부분 오피스, 상가, 물류센터 등 건물에 투자하며, 순수하게 토지 자체에만 투자하는 리츠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리츠의 자산구성상 부동산(토지+건물) 통합 소유가 일반적이며, 토지 개발이 목적일 경우에도 건물 개발과 결합된 구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리츠주 종류 중 개발앵커리츠는 부동산 PF 사업이 토지 매압 단계에 투자하기 위해 조성되는 리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