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떳떳한몽구스296
떳떳한몽구스29622.02.18

고협압이 코로나가 걸리면 큰일나나요?

나이
1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아직없음
기저질환
고혈압

제가 고혈압인데요 만약에 코로나를 걸리면 생명까지 지장이 있을까요? 부모님이 어린데도 고혈압이라고 걱정하시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고혈압 자체는 코로나의 감염 취약군 또는 고위험군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고혈압이 있으시다 하더라도 평상시 약물복용으로 조절이 잘된다면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고혈압은 면역 저하 상태로 보지 않습니다. 동반된 심장, 뇌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혹여 코로나에 감염된다고 해도 고혈압이 없는 사람과 큰 차이는 없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만성질환자(예를 들어 고혈압, 당뇨, 호흡기질환, 류마티스질환 등)은 코로나에 걸렸을 때

    더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코비드19이 무서운 점은 젊고 건강한 성인들도 감염시 중증으로 발전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고령의 환자나 기저질환을 가진 분들은 그 위험도가 훨씬 높아 백신에 심한 알러지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금기사항에 해당되지 않고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이상반응으로 인한 위험도보다 훨씬 높아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기저질환자들은 나이를 막론하고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증이란

    1. 입원

    2. 집중치료

    3. 인공호흡기 필요

    4. 사망 가능성

    을 지칭합니다.

    기저질환으로는

    1. 암

    2. 만성 신장병

    3. 만성 호흡기 질환

    4. 치매

    5. 당뇨병

    6. 다운증후군

    7. 심장관련 질환 (심부전,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

    8. HIV 감염자

    9. 면역저하상태

    10. 간질환

    11. 비만

    12. 임신

    13. 흡연자 (과거 포함)

    14. 장기이식자

    15. 뇌혈관 질환

    16. 약물 남용(음주 및 마약류)

    등을 지칭합니다.

    19세에 고혈압은 흔한 경우는 아니며 정확히 고혈압으로 진단을 받은 경우라면 기저질환 보유로 인해 비기저질환자에 비해 중증 진행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고혈압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부모님이 단순히 고혈압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무서워 하거나 생명에 지장이 간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는 감염 이후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조심은 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큰일 나는건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고혈압의 기저질환이 있어도 코로나 감염 후 발생하는 증상에 큰 영향은 없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대부분은 큰 이상 없이 지나갑니다. 물론 심한 고혈압인 경우에는 위험할 수 있으나 고혈압은 대표적인 성인질환 중 하나로서 지금까지 고혈압이 있는 분들이 감염되어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거나 사망한 적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고혈압이라면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고혈압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기저 질환이 있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때 중증 상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그로인해 병증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현재 나이대의 경우는 치명율이 매우 낮기에 단순히 혈압만 가지고 문제가 될 것이라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감염을 주의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20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약물로 조절되는 고혈압의 경우 코로나의 중증도와 치명률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평소 마스크를 잘착용하시고 감염가능성을 줄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고혈압기저질환자의 경우에는 기저질환자가 아닌 경우보다 고령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으나 개인마다 다르기에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고혈압만 있는 경우 반드시 증상이 심하다든지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젊으시고 고혈압 단독으로 있다면 코로나도 일반인과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기저질환을 가진 분의 경우 건장한 사람보다 코로나바이러스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확진시 더 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백신 예약 가능하다면 빨리 접종 진행하는게 좋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건강한 성인보다는 기저질환자에서 코로나 확진시 위중증으로의 진행이 높긴합니다.

    질문자님의 고혈압 정도가 얼마나 심한지는 알 수가 없으나,

    젊으시기 때문에 생명까지 위협될 정도는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참고로 현재 코로나 확진후 치명률은

    80대 이상에서 약 10퍼센트

    70대에서 약 3퍼센트

    60대에서 약 1퍼센트로서,

    기저질환자이며 고령자인 경우에도 10 퍼센트를 넘지는 않으니,

    질문자님의 경우 걱정을 너무 하시진 마시고,

    예방을 철저하게 하는것에만 초점을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 비해 코로나 감염시에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기에 고혈압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우선 약물로 혈압을 잘 조절하고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고혈압도 중증으로 진행을 유발할수 있는 위험인자중 하나입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고혈압은 기저질환이며, 고혈압 환자는 비고혈압인에 비하여 기저 면역 상태가 다소 낮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될 위험과 중증 감염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하지만 고혈압이 있다고 코로나에 걸리면 무조건 큰일 나는 것이 아니며,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도 경증 감염으로 끝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코로나에 감염이 된다면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조금 더 높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을 하셨다면 중증으로 진행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현재 유행중인 오미크론 변이는 상대적으로 증상이 경미하기에 너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고혈압이 있고 코로나에 감염되면 아무래도 몸에 스트레스가 생기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심화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2. 하지만 현재 대부분 백신을 맞았고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치명률이 낮기 때문에 대부분 생명에 지장갈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지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고혈압은 코로나 감염의 위험인자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코로나에 감염 시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는 질환을 다음과

    같은 질병들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Cancer

    • Cerebrovascular disease

    • Chronic kidney disease*

    • Chronic lung diseases limited to:

      • Interstitial lung disease

      • Pulmonary embolism

      • Pulmonary hypertension

      • Bronchopulmonary dysplasia

      • Bronchiectasis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hronic liver diseases limited to:

      • Cirrhosis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Alcoholic liver disease

      • Autoimmune hepatitis

    • Diabetes mellitus, type 1 and type 2*

    • Heart conditions (such as heart failure, coronary artery disease, or cardiomyopathies)

    • Mental health disorders limited to:

      • Mood disorders, including depression

      •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 Obesity (BMI ≥30 kg/m2)*

    • Pregnancy and recent pregnancy

    • Smoking, current and former

    • Tuberculosis

    감사합니다.


  • 고혈압,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분들에 비하여 코로나19 감염시 중증으로의 진행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모든 기저질환자가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예방접종 완료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많이 낮출 수 있으며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진행 위험성이 낮아집니다.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최근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만18세 이상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는 전체 대상자의 6.2%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1,818명)중 미접종자는 53.2%, 위중증 환자 (3,598명) 중 미접종자는 53.1%를 차지하여 백신 예방접종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며 1,2차 접종과 추가접종 사이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상반응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여러 이상반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백신 접종 후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같은 전신반응이 흔하게 나타나며 젊은 연령층에서 이와 같은 증상이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증상들은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을 복용하시고, 이 기간에는 가급적 무리한 신체활동을 삼가시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드물지만 심근염, 심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숨이 차거나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실제로 맥박이 빨리 뛰는 경우, 실신 등이 있다면 내원하시어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해외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드물게 발생하는 심근염, 심막염은 2차 접종 후, 젊은 남성에서 더 자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는 매우 드물며 (접종 100만명당 10명 이내) 조기 진단하여 치료할 경우 특별한 후유증 없이 치료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특정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시 중증질환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고 치료 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기저질환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은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제를 복용하는 것 자체는 예방접종과 관련해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기저질환이 악화되는 것도 아닙니다. 백신접종 후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지만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로 완치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만성병이 있으신 분들은 코로나에 걸리시면 증상이 심각하실수 있습니다.

    그래서 코로나 백신을 맞으셔야 합니다.

    건강한 다른분들보다

    코로나에 걸리면 더 위중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접종을 권해드립니다.

    완벽하게 코로나 감염을 방어할 수는 없지만

    안맞은 사람과 비교할 정도의 낮은 수치는 아닙니다.

    그리고 코로나에 걸려도

    백신을 맞은 사람은 중증으로 가는 확률이

    훨씬 줄어듭니다.

    그러니 가능하시다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마지막 결정은 주치의와 상의해서 결정하십시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우리나라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자는 기저질환자를 포함한 전국민입니다. 왠만한 기저질환은 백신접종 금기대상이 아니며, 현재 급성기 치료를 받아야하는 상황에서 치료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을 받아야합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기저질환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기저질환자들의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사망율도 높아지게 되므로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에 기저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하던 약물은 평소와 같이 복용하시면 됩니다. 많이 걱정되신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담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