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경제전문가
경제전문가23.04.01

비상장기업의 적정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나요?

1~2년 전 저금리시기에 IPO를 통해 상장하는 회사들이 많았습니다. 회사마다 가격은 천차만별이었고 특정회사는 적자인데도 불구하고 높은 공모가를 산정받았습니다. 이러한 비상장 기업의 적정가치는 누가 어떻게 평가하고 어떤 방식으로 가격이 산정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상장기업의 상장 준비시에는 해당기업이 갖춘 기술력 누적이익금, 그리고 매출성장세 그리고 이익률등을 보고 상장시 적정 시가총액을 결정시에는 해당회사가 영위중인 업종으로 현재 상장되어서 거래중인 기업들을 비교군으로 삼은 뒤 해당기업들의 벨류에이션을 상장사에 대한 벨류에이션의 기준으로 삼고 평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평가산정한 회사에 대한 내용을 각 기관들에게 레터를 보내어 금융기관들의 참여율을 보고 공모가격을 결정하게 됩니다. 물론기관들이 제시한 가계이 상장사가 원하는 가격과 괴리가 큰 경우에는 상장을 철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비상장 기업의 적정가치 평가는 대체로 수익성, 성장 가능성, 경쟁력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보통 이러한 평가는 투자은행(IB)이나 자산운용사 등 전문가들이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1. 재무분석: 기업의 재무상태, 수익성, 자산 및 부채 구조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합니다.

    2. 산업분석: 기업이 속한 산업의 성장성, 경쟁 구도, 시장 규모 등을 파악하여 기업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3. 경쟁분석: 경쟁 기업들과 비교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합니다.

    4. 성장성 분석: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이때, 기업의 현재 사업 모델과 확장 가능성, 신규 사업 진출 가능성 등을 고려합니다.

    5. 할인 현금흐름(Discounted Cash Flow, DCF) 방식: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기업의 적정가치를 산정합니다.

    6. 비교거래 방식: 유사한 기업들의 거래 가격을 비교하여 기업의 적정가격을 산정합니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기업의 적정가치를 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장에서의 가격 산정이 이루어집니다. 비상장 기업은 시장에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가 중요하며, 투자자는 이를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상장 기업의 적정가치 평가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대체로 현재 가치와 미래 현금흐름의 가치를 고려하는 적정 가치 평가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비상장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정 가치 평가 방법 중 하나는 현금 흐름 할인 모형 (DCF)입니다. DCF 방법은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그 값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적정 가치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우선 기업의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이를 할인율과 결합하여 현재 가치를 산출합니다.

    또한, 비상장 기업의 적정 가치 평가에는 비교 가치 평가 방법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비슷한 산업, 시장 위치 및 규모를 가진 기업들의 가치를 비교하여 기업의 가치를 추정합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적정 가치 평가 방법이 있으며, 평가를 수행하는 분석가나 투자자는 기업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