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원전 산업의 문제가 이번에 제대로 드러나는 것 같은데요 과연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이대로 망한 건가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원전 계약과 관련 웨스팅 하우스사와의 원천 기술 문제 그리고 각종 조항들까지
앞으로 우리나라의 원전 산업에 상당한 큰 부담을 미칠 것 같은데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요
다른 비책은 있을까요
아니면 당분간 이대로는 망했다고 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전 산업 얘기는 들을 때마다 마음이 좀 무겁습니다. 최근에 기술 문제 얘기랑 계약 조항 관련 잡음이 계속 나오면서 괜히 걱정이 커집니다. 웨스팅하우스랑 얽혀 있는 원천 기술 문제도 그렇고 해외 수출 계약에서 생기는 불확실성도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솔직히 이런 분위기만 보면 이제 우리나라 원전 산업이 힘든 길로 들어선 게 아닌가 싶어 답답합니다. 그렇다고 단순히 망했다고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술력 자체는 여전히 강점이 있고 다른 대체 전략을 마련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시간도 들고 돈도 더 들 거라 부담스러운 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원전 산업의 경우 최신 기술의 경우 웨스팅하우스사와의 사전 허락을 받지 않고도 사용을 할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의 유럽에서의 계약으로 인한 원전주 주가가 크게 상승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매번 확인해봐야겠지만, 웨스팅하우스사와의 긍정적인 협력을 통해 보다 그러한 제한을 풀어나가는 거시 좋겠다는 생가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웨스팅하우스와의 분쟁, 원천기술 문제 등은 국내 원전산업의 신뢰에 타격을 줍니다. 그러나 원전 생태계와 해외 수주 경험 등을 기반으로 돌파구를 마련중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술 자립과 전략적 제휴가 관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원전 산업이 이대로 망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정확한 내용이 드러나봐야 알겠지만
이대로라면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원전산업은 굿건합니다.
이번 웨스팅하우스 건은 자세히 보시면 위리에게 나쁘지 않은 조건입니다.
정부에서 이전정부 깔려고 선택적 계약정보만 흘리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한수원의 체코 원전 수주가 큰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원전에 관심이 많은 만큼, 한미 원전 협력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주요 의제가 될 것이고 향후 성장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