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4.24

먹구름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건가요?

하늘의 일반 구름과 틀리게 먹구름은 검정색을 진하게 띠고 있는데 먹구름은 무엇때문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 지는 건지 궁굼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대기 중에 수증기가 농도가 높은 곳으로 상승하면서 만들어집니다. 수증기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면서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합니다. 또한, 대기 중에 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있으면, 먼지나 오염물질이 물방울의 핵으로 작용하여 먹구름이 형성됩니다.

    먹구름은 일반적으로 높이가 2~7km 정도인 층운에 속하며, 먹구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빛이 굴절되어 빛의 색상이 붉은색으로 변하거나, 구름 안쪽이 어둡게 비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먹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먼지, 오염물질 등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먹구름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구름속에 많은 물방울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구름내에 물방울이 적을경우 햇빛이 구름속에서 산란되어 하얗게 보이지만 물방울이 많으면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것은 구름 속 물방울에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적란운 아래에서 적란운을 올려다본다면 그 구름은 어두컴컴한 먹구름으로 보일 것입니다. 햇빛이 구름층을 뚫고 내려오는 동안 구름 속 물방울에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즉, 먹구름은 물방울의 밀도가 높아, 빛이 산란, 흡수되기 때문에 검은색인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