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서에서 병명 임상적 진단 1.중수지골 관절의 염좌및긴장 2. 무릎의 기타 및 상세불명 염좌및긴장 으로 2주진단 나왔는데요 상해등급12~14급 중 몇급에 해당되는건가요?
진단서에서 병명 임상적 진단 1.중수지골 관절의 염좌및긴장 2. 무릎의 기타 및 상세불명 염좌및긴장 으로 2주진단 나왔는데요 상해등급12~14급 중 몇급에 해당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상해등급 같은 경우 보험사나 산재보험 교통사고 보상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말씀하신 증상은 손가락 관절의 염좌 및 무릎 의 염좌로 진단 기간이 2주 정도 나왔다면 경미한 염좌로 보고 일반적으로 14급 또는 해당 등급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 12~13등급 같은 경우 인대의 손상이나 골절 탈구 등 구조적 손상이 있을 경우에 12~13등급 정도 나오고 14급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염좌나 타박상일 경우에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보험사나 산재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등급은 보험사나 관련기관에서 확인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상해등급은 부상의 정도와 기능적 제한에따라 다르기때문에 정확한등급을 확인하고싶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후에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중수지골 관절의 염좌 및 긴장과 무릎의 기타 및 상세불명 염좌 및 긴장은 12급에서 14급에 모두 해당되는 사항인데요, 상해급수의 판정은 손해사정사와 같은 전문가에게 문의를 하시는 것이 정확한 의견을 들어보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중수지골 관절 염좌 및 긴장과 무릎 염좌는 일반적으로 상해등급 12~14급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2주 진단은 경미한 상해로 간주되며 회복이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체적인 등급은 진단의 정도와 치료 경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등급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상해의 정도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12급은 일상적인 활동에 다소 지장이 있지만, 큰 장애를 일으키지는 않는 상태를 말하며, 13급, 14급은 상해 후 회복되었지만, 완전한 회복이 되지 않아 일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정확한 상해등급은 담당 의사의 평가와 함께 상해 후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되므로, 세부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