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보면은 왜 하늘은 파란색일까? 궁금합니다

왜 하늘은 파란색일까?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기 중에서 빛이 어떻게 산란되는지, 그리고 색의 파장에 따라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설명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창민 수의사
    박창민 수의사
    경북대학교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태양빛에는 보라색보다 파란색 빛의 양이 더 많기 때문에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늘이 낮에는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빛의 산란이란 어떤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일부가 진행방향으로부터 이탈해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뜻하는데요, 산란 후에도 에너지가 일정한 탄성 산란과 에너지가 달라지는 비탄성 산란으로 나누어집니다. 탄성 산란은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으로 나뉘는데요, 이는 매질의 입자 크기에 따라서 분류됩니다. 이중에서 레일리 산란은 전자기파가 파장보다 매우 작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현상으로 기체, 투명한 액체 및 고체를 통과할 때 발생합니다. 하늘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레일리 산란때문인데요, 햇빛은 가시광선, 즉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모든 색을 가진 전자기파로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올 때 대기를 통과하게 됩니다. 대기 중에는 가시광선보다 매우 작은 질소, 산소 분자가 존재하고 햇빛은 대기 중 질소와 산소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산란하게 됩니다.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파장이 짤은 보라색, 파란색이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보다 산란이 더 잘됩니다. 이때 보라색은 대부분 산란되어 사라지며 우리 눈은 보라색보단 파란색에 더 민감하기에 하늘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짧은 파장의 빛, 특히 파란색 빛이 공기 분자에 의해 강하게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공기 분자에 쉽게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집니다. 사람의 눈은 파란색 빛에 더 민감하고, 보라색보다는 파란색이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랗게보이는 이유는 대기중에서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종류의 빛이 섞여있는 형태인데,
    빛이 지구에 도달하면 공기중의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산란됩니다.

    특히 짧은 파장의 빛이 강하게 산란되는데,
    파란빛은 가시광선중에서 짧은 파장을 갖고있어 쉽게 산란됩니다.

    이러한 산란은 대기입자의 크기나 구성에따라 달라질 수있고,
    현재 우리 대기의 공기조성과 대기 두께에서는 파란색빛이 산란되어
    우리눈에 들어오는것이 대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