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소리 듣는 것을 너무 싫어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유치원 자녀를 둔 학부모입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 잔소리를 하게 되면 엄청 싫어하네요. 어떻게 지도하는게 효과적일까요?
아이 뿐 아니라 누구나 잔소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일정한 규칙을 정해놓는게 필요합니다.
그래야 아이도 잔소리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훈육을 한다는 이유로 잔소리를 하게 되면 아이들은 당연히 반발심을 느끼거나 싫어합니다. 훈육을 할 때는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먼저 이야기를 들어주고 이해하는 마음이 필요하며 잘못된 행동을 한 부분에 대해서만 왜 그행동이 잘못되었는지만을 명확하게 설명해시는 것이 좋습니다. 훈육을 하다보면 잘못한 부분외적인 부분들까지 하게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 보면 훈육이라고 느끼지 않고 잔소리라고밖에 느끼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올바른 행동을 할수 있는 규칙이나 대처방법을 알려주어도 좋을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피드백을 줄 땐느 가능한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세요. " 이 부붐능ㄹ 잘했어"라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며 개선할 점은 짧고 간경하게 전달하세요. "다음에는 이렇게 해보자."라고 제안하며 피드백 후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 칭찬을 통해 격려해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잔소리를 너무 싫어한다면 아이에게 말씀하실때 팩트에 근거해 짧고 간결하게 말하도록 해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잔소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이에게 하는 말이 잔소리가 아니고 꼭 필요한 말임을 설명해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유치원 정도를 들어가게 되면 부모님의 말이 잔소리로 들릴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아이가 하고 싶은것은 많은데 부모님께서 제재 하는것들이 많기 때문일겁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설명을 통해서 아이들은 부모님의 말이 잔소리가 아니고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는 말이라는것을 인식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잔소리나 훈육이 아이 입장에서는 스트레스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잘못에 대해서 훈육할 때 보호자 분들의 태도는 명확하면서 단호한 모습을 띄어야 합니다. 그리고 훈육할 때는 항상 일관된 모습으로 아이에게 이야기를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어제는 됐다가 오늘은 안 됐다가 한다는 태도는 전혀 올바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부모님이나 어른들로부터 잔소리를 듣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잔소리를 하는 대신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을 설정하고 이를 지키도록 유도하세요.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왜 그런 행동을 하면 안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비슷한 상황에서의 예시를 제시하면서 이해를 돕세요.
잘한 일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보상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대화와 협상을 하세요 아이와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합의점을 찾으세요.
인내심 갖기가 중요합니다. 아이가 변화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위의 방법들을 참고하여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부모님과 아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신뢰를 쌓아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잔소리 보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해 보는건 어떨까요?
"이거 하지마" 라는거 보다 "이렇게 해보는건 어떨까?" 라고 긍정적인 지시를 받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선택권을 제공하여 선택에 대한 책임감을 부여해 주세요.
칭찬과 격려고 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안녕하세요.
잔소리로 인식하지 않고 본인의 성장과 개선을 위한 말로 들을 수 있도록 인식을 고쳐 주세요. 부정적인 말이 아니라 도움이 되는 말로 생각할 수 있도록요. 그러기 위해 부정적인 어조로 말하지 않고 부드럽게 이야기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