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당국 한국 배터리 공장 대규모 단속이 무역 협상 국면에 변수 될까요??????
조지아주 배터리 합작 공장에서 미 당국이 이민 단속을 벌여 한국인 대거 체포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한미 간 무역 협상 국면에서 터진 사건이라 기업과 정부 모두 긴장하는 분위기인데 파장이 어디까지 갈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 당국이 한국 배터리 공장에서 대규모 단속을 벌인 건 단순 노동 문제를 넘어 무역 협상에도 미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입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 투자 확대를 통해 시장을 넓히려는 상황에서 이런 일이 터지면 고용 규제와 통상 이슈가 뒤섞여 협상 카드로 쓰일 여지가 큽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이 민감한 사안이라 정부와 기업 모두 미국과의 대화 국면에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 사안은 단순한 노동 단속 사건으로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미국이 현지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를 직접 겨냥해 단속을 벌였다는 점에서, 통상 교섭 테이블에 앉은 양국이 서로의 압박 카드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깁니다. 무역 협상은 결국 관세나 보조금 문제만 다루는 게 아니라 투자 환경이나 고용 관리까지 포괄적으로 얽히기 때문에, 이번 사건이 한국 기업의 현지 신뢰도에 흠집을 내면 협상 동력도 약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은 자국 내 노동법 집행을 강조하면서 자국민 여론을 관리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파장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 다만 기업들의 경우 이러한 조치에 따라서 관습이 변경될 듯 합니다. 기존에는 영주권이 나오기 전에는 ESTA 비자 등을 가지고도 주재원들이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에 따라 영주권 취득 전에는 주재원을 보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울러 이에 따라 기업들의 내부 인사 정책에 변경이 예상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