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ASDXC
ASDXC

기업은행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 전역에 있는가요 기업은행은 공기업인가요

우리나라에서 민간은행은 여러곳이 있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기업은행도있는것 같은데요 기업은행은 우리나라 전역에 있는가요 그리고

공기업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우리나라 전역에 지점이 있습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특수한 설립 목적을 가지고 있어 전국 주요 도시에 지점망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업은행은 엄밀히 말해 공기업은 아니지만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됩니다. 공공기관은 공기업, 준정부기관, 가타공공기관으로 나뉘는데 기업은행은 기타공공기관에 속합니다. 이는 정부가 경영에 대한 통제를 하지만 일반적인 공기업처럼 직접적인 경영 평가를 받지는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국책은행으로서 정부가 지분의 50%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금융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민간은행과는 달리 공공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1961년 8월에 설립된 특수은행으로 공공기관입니다. 기업은행은 2014년에 한국산업은행과 더불어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전역에 지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으 지점수가 이미 600개가 넘는 점포를 갖고 있으며 이는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이며 국내 전역으로 지점이 분포가 되며 국내의 전역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은행입니다

    즉 비즈니스를 요새는 개인을 대상으로도 많이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초기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일종의 특수은행으로 설립된 곳이며 지금은 이런 중소기업만이 아니라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도 대출을 늘리며 거의 시중은행포지션으로 들어서고 있으며 지분구조는 대한민국정부가 60%가까이 지분을 소유한 형태로 실질적으로 공기업구조라고 보시면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기업은행은 공기업의 성격을 지닌 금융이관입니다

    • 우리나라 전국에 퍼져 있는 1금융권에 해당합니다.

    • 기업에 대한 대출만 하지 않고 일반적인 개인 대출도 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들도 기업은행을 활용하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공공기관에 해당하며 이름 그대로 기업들의 금융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국 주요 도시에 대부분 위치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국가 기관의 소유한 지분이 50%이상인 국책은행입니다. 중소기업특별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시중은행과는 다르게 정책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점은 대부분의 거점 도시에는 소재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전국적으로 지점을 두고 있는 편입니다. 대도시뿐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꽤 퍼져 있어서 접근성은 좋은 편입니다. 설립 목적 자체가 중소기업 금융 지원이라 영업망도 그에 맞춰 배치돼 있습니다. 그리고 성격을 보면 완전한 민간은행은 아닙니다. 정부가 지분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경영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구조라 공기업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일반 시중은행처럼 영리만 추구하기보다 정책금융 역할을 많이 맡고 있습니다. 다만 영업 방식은 시중은행과 크게 다르지 않아 예금 대출 카드 같은 기본 금융상품은 똑같이 취급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IBK)의 지배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중은행이라 전국에 지점이 있고 국책은행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최대주주는 대한민국 정부(기획재정부)로, 68.5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도 주요 특수관계인 주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 이사회는 사외이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2024년과 2025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이사회 운영, 사외이사 활동 및 보수, 운영위원회, 리스크관리위원회, ESG 위원회 등이 구체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외이사를 3명 이상 두고 사외이사가 이사회 구성 과반수를 차지해야 하며, 이는 기업은행도 준수하는 의무 사항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의 경우 대한민국 전역에 위치한 은행이라고 볼 수 잇ㅅ습니다. 이는 약 전국에 600개 이상의 점포를 가지고 있고, 이는 대도시 위ㅜ로 있겠지만, 중소도시나 산업단지 등에도 위치하여 기업들이 돈거래를 보다 쉽게할 수잇도록 위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ㅅ습니다. 이는 다른 1금융권의 대형은행이 비해 점포수나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기도 합니다. 기업은행은 공기업은 아니지만 정부의 지분이 있는 은행으로 일반은행과는 조금 구조가 다른형태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전국적으로 약 600여 개 이상의 지점이 있어 우리나라 전역에서 영업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1961년 설립된 국책 은행으로, 현재는 금융위원회 산하 기타공공기관 즉, 공기업 성격을 가진 특수은행입니다. 정부가 주요 지분을 보유해 공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공공기관 지정 해제 논의도 진행 중이긴 하나 아직 공공기관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업은행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기업은행은 전국망을 갖춘 은행으로

    기타 공공기관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정부가 경영에 개입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행은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지점을 통해 뛰어난 접근성이 있는 금융기관입니다.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 공기업 성격이 강한 금융기관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