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종량세와 종가세의 차이가 수출입 전략에 어떻게 영향을 줄까요?

수출입 과정에서 종량세와 종가세의 적용이 서로 다른데, 이 차이가 비용 구조나 시장 진입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우리 회사의 제품이 양 세율 모두 적용대상일 가능성이 있는데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종량세는 제품의 수량이나 중량에 따라 세율이 부과되며, 단가가 낮은 제품에는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반면 종가세는 제품의 가격에 따라 세율이 정해져 고가 제품일수록 세 부담이 커집니다. 이러한 세율 적용 방식의 차이는 수출입 비용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시장 진입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단가와 부피가 높은 제품은 종량세로, 고가 제품은 종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대응 방안으로는 먼저 대상 국가의 관세 체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제품의 포장 단위나 수량을 최적화하여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거래 상대와의 협상을 통해 관세 부담을 분담하거나, 현지 생산을 검토하여 관세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세 전문가와의 협력과 체계적인 사전 계획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대부분의 물품들이 종량세와 종가세를 선택할 수 없고 종가관세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아 다수의 기업체들에게 이는 선택적인 부분은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그냥 생각해볼 수 있듯이 선택이 가능한 부분이라면 상대적으로 양(수량, 중량 등)에 비해 저렴한 물품의 경우 종가관세를 양에 비해 가치가 높은 물품의 경우 종량세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세금은 종가세 기준이며, 종량세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두가지 모두 대상이 된다면 세액을 계산할때 유리한 방향으로 계산하시어 납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을 구분할 기준을 세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