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올라잇
올라잇

멀미약의 원리가 어떤 원리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8

차 오래타기전에 멀미약을 먹는데 멀미약을 먹으면 정신이 좀 몽롱해지더라고요

단순히 졸리게 해서 멀미 억제하는건 아닐듯한데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멀미약은 구토,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함으로서 해당 증상을 덜 나타나게 만들어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평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차단하여 멀미증상을 가라앉힙니다.

    졸린건 약 자체의 부작용이구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멀미약은 구토 중추를 자극하는 신경전달 물질인 히스타민(Histamine)과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억제하는 것이 기본적인 원리입니다. 따라서 히스타민과 아세틸콜린을 억제하는 약물들인 항히스타민제와 항콜린작용이 있는 약물들을 사용하며 해당 효과가 있는 약물들 중 구토 중추가 있는 뇌 쪽으로 약물이 잘 전달되는 약물을 사용하게 됩니다.(뇌에는 BBB라고 불리는 혈액-뇌 장벽이 있어서 약들 중 뇌로 잘 전달되지 못하는 약물들이 많습니다.)

    멀미약에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항히스타민제 중 뇌쪽으로 잘 전달되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메클리진, 디멘히드리네이트, 클로르페니라민과 같은 약이 사용되며 항콜린 작용을 가지고 있는 스코폴라민 성분도 사용됩니다. 해당 성분들은 부작용으로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니 운전 등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하셔야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멀미는 전정기관에서 느끼는 감각과 시각이 달라 느껴지는 증상으로 멀미약은 이러한 감각전달을 무디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멀미약에는 항히스타민 성분이 포함이된경우가 많은데 히스타민 H1 수용체를 차단하여, 뇌에서 전정기관의 과도한 신호 전달이 억제되어 멀미 증상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졸음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 ^^ 항상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멀미약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매하는 마시는 멀미약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작용을 하겠습니다. 진정작용을 통하여 항오심, 항구토작용을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디멘히드레네이트나 메클리진 같은 멀미약은 주로 뇌에서 구토중추를 자극하는 신경전달물질인 히스타민 또는 아세틸콜린을 차단함으로써 작용을 나타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멀미약마다 성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주로 뇌에서 구토중추를 자극하는 히스타민이나 아세틸콜린을 억제하는 작용으로 항히스타민 성분이 포함된 경우 졸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