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놔두면 나을까요,?..
최근에 운동을 너무 심하게해서 발목에 계속 통증이 있었는데 병원에 가보니 족저근막염 이라더군요..그냥 찜질하고 운동좀 적당히 꾸준히 하면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은 적극적으로 치료받아야 낫습니다 혈류순환이 잘 안되는 발바닥쪽 염증이기때문에 침치료나 고주파 충격파 치료 시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당분간 운동은 중단하시고 충분한 휴식과 발이 편한 신발의 착용, 족저근막을 이완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을 해보시고 증상 호전이 없다면 체외 충격파나 주사 치료가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해볼수는 있으나 경과호전이 더디면 추가치료가 필요합닏.
보존적 치료의 첫 단계는 교정 가능한 원인이 있다면 이를 바로잡는 것입니다.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과도한 운동량, 불편한 신발 착용 등을 교정하여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앉은 자리에서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아픈 발의 엄지발가락을 잡아 발등 쪽으로 당기면 발바닥의 근막과 아킬레스건이 단단하게 스트레칭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반대쪽 손가락으로 단단하게 스트레칭된 족저근막을 마사지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 동작은 천천히 시행하며 한 번에 1520초간 유지하고, 하루에 10번 이상 틈나는 대로 스트레칭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나 오랫동안 앉아 있다가 걷기 시작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해주면 효과적입니다. 보조기로는 뒤꿈치 컵이 널리 사용되며, 딱딱한 플라스틱 제품은 뒤꿈치 연부조직을 감싸 충격을 흡수하고, 고무제품은 연부 조직을 감싸면서 쿠션 역할도 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는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에 효과가 있으나 장기간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은 다른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사용한 후에도 증상 호전이 없을 때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복 사용은 족저근막의 급성 파열 위험과 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체외 충격파 요법은 수술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시행한 후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한해 고려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관절경을 이용한 족저근막 절개술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천천히 스스로 증상이 좋아지는 자한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좋아지기까지 약 618개월이 걸릴 수 있어 무작정 나아질 때까지 기다리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하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보행에 영향을 주어 무릎, 고관절, 허리 등에도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하며, 여성의 경우 하이힐을 가급적 피하고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낡아서 충격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신발을 신고 조깅이나 마라톤 등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증상이 오래될수록 보존적 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개 6개월 이상 보존적인 치료를 해야 하며 90% 이상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점차적으로 서서히 회복되므로 환자와 의사 모두 참을성이 필요합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근막의 반복적인 자극과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찜질과 스트레칭, 충분한 휴식으로 증상 완화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통증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물리치료나 소염제 등의 적극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무리한 운동은 자제하되 적당한 강도의 스트레칭과 운동으로 발바닥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도움됩니다. 필요하다면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맞춤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권해드립니다.
심하지 않다면 자연적으로도 좋아집니다.
온찜질과 마사지, 스트레칭이 회복을 촉진시켜쥬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마사지를 해주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족저근막은 발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고 발의 모양을 유지하게 됩니다 족저근막염은이 족저근막의 반복된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족저근막염은 생활습관과 간단한 자가치료도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해당 부위를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통증 감소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운동 하루에 3번 한번에 10개씩 양측 발 모두 번갈아 가며 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운동해도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병원 내원하여 체외충격파 or주사치료 등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나이가 젊으셔서 가급적 운동요법을 추천드릴게요
최근에 심한 운동을 하셨다면 운동에 의한 족저근막염의 가능성이 가장 높겠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는 1차적으로는 원인 교정으로 부정확한 자세나 운동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경구 소염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으며 심한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또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 부위를 충분히 당겨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시고 지켜보되 통증이 심해질 경우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족저근막염을 비롯한 모든 근골격계 질환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휴식입니다
따라서 일단 운동을 쉬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부하는 줄이셔야 하구요
병원 치료를 병행한다면 회복속도가 더 빨라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