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

올빼미는 목이 어떻게 360도 돌아가나요?

사람이나 동물은 목이 돌아가는 각도가 한정적이잖아요.

그런데 어떻게 올빼미는 인형마냥 스르륵 360도 목이 돌아가는건가요?

올빼미 목에는 뼈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득한반딧불210
      진득한반딧불210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올빼미 목이 360도로 돌아갈 수 있는 이유는 목뼈와 목의 근육 구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들은 목뼈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목을 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올빼미의 목뼈는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이 작은 관절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된 목뼈들은 서로 다른 각도로 움직여 올빼미가 목을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 올빼미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머리를 270도 돌릴 수 있어 가만히 앉은 채로 주위를 360도 살필 수 있는데 이렇게 하고도 목과 머리의 혈관이 손상되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NBC 뉴스가 31일 보도했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과학자들은 혈관 조영술과 컴퓨터 단층촬영(CT) 및 의학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해 자연사한 흰올빼미와 아메리카올빼미, 수리부엉이 등 올빼미 12마리의 신체 구조를 분석한 결과 모두 머리를 지탱하는데 필요한 뼈와 혈관 네 부위에서 부상 방지를 위해 적응이 일어났음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들 올빼미의 동맥에 조영제를 주사해 혈액처럼 흐르게 한 뒤 올빼미의 머리를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실험 결과 조영제가 더 많이 흐를수록 턱 바로 밑, 머리 기저부의 혈관이 점점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했다.

      올빼미의 첫번째 해부학적 변이는 목에서 발견됐다. 목은 뇌에 피를 공급하는 대동맥이 척추 뼈의 가로구멍(횡돌공)을 통과하는 부위인데 이 구멍의 지름이 동맥 지름의 10배나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큰 가로구멍 공간은 동맥이 뒤틀려도 무리 없이 통과하도록 완충 역할을 하는데 올빼미의 경추 14개 가운데 12개가 이런 적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빼미의 경추 동맥은 다른 새들에 비해 목의 빈 공간 속으로 더 높이 올라간 12번 경추까지 도달해 혈관이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도 올빼미의 경동맥과 추골 동맥이 사람 성인과 달리 서로 연결돼 있어 두 혈관 사이에 혈액 교환이 일어날 수 있고 만일 극심한 목의 회전으로 혈관 하나가 막혀도 뇌에 혈액이 계속 공급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360도로 완전히 돌아가는 올빼미는 없습니다. 최소 좌우측 어느 방향으로든 180도 이상 머리를 돌릴 수 있다. 몸을 고정하고도 등 뒤를 바라볼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일부은 약 270도까지도 머리를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올빼미는 좌우로 135도 가량까지 목을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올빼미가 몸을 움직일 필요 없이 뒤를 볼 수 있는 이유는 특수한 척추 때문입니다. 목을 크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해주는 특수한 척추와 더불어 목 쪽에 적은 수의 근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목의 혈관과 신경을 해치지 않고 머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올빼미의 목이 360도 돌아갈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올빼미는 다른 조류와는 달리 머리와 목의 연결 부위인 "목관절"이 매우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목관절은 골반과 엉덩이 부분에 위치한 두 개의 큰 골반골과 맞닿아 있으며, 이를 통해 목과 머리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올빼미의 목에는 혈관과 신경이 매우 민감하게 위치해 있습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목뼈는 튼튼하면서도 유연한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목을 돌릴 때도 안전하게 목관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목의 구조와 관절의 유연성은 올빼미가 먹이를 쫓거나 위협을 느낄 때, 빠르게 목을 회전시켜 상황을 파악하거나 위험을 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올빼미는 생존과 번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올빼미 스스로 자신의 방어를 위해 진화하여 목을 돌려도 혈관이 신축성을 갖게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간의 경우는 목을 과도하게 돌리면 목뼈와 동맥에 무리가 가는데 올빼미는 진화를 하게 된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