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 초기 유인원과 현재 호모사피엔스의 이개수는 왜 동일한가요
초기 유인원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비교하여 현재 인류인 호모사피엔스의 이개수는 동일한데요
그오랜기간 진화과정에서 이개수가 동일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초기 유인원을 포함한 영장류는 치아의 기본적인 개수 구성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랜 진화 과정 동안 식단 변화에 따라 치아의 크기나 모양은 변했지만, 앞니, 송곳니, 어금니 등의 기본적인 치아 개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치아 개수의 안정성은 인류 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해부학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먼저 말씀하신대로 초기 유인원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현재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이 개수는 기본적으로 동일합니다.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유인원은 일반적으로 32개의 영구치를 가지고 있는데, 위턱과 아래턱 각각 16개씩입니다.
그 중 앞니는 2개, 송곳니가 2개, 작은 어금니가 2개, 사랑니를 포함한 큰 어금니다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역시 비슷한 치아 구성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다만, 식습관의 차이로 인해 치아의 크기와 형태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질기고 단단한 식물을 씹어 먹기 위해 어금니가 더 크고 튼튼했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이로 이런 치아의 수가 오랜 진화 과정 동안 크게 변하지 않은 이유는 식습관에 의한 것입니다. 즉, 각 치아의 크기와 형태는 식습관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세세한 식습관의 변화가 있었지만, 기본적인 식습관의 변화는 치아의 수를 변화시킬 만큼의 변화가 없었다는 의미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