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알뜰한잉어191
알뜰한잉어191

식품의 유통기한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나요?

식품의 유통기한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나요? 품질의 변화 외에 미생물의 오염에 대한 기준은 없나요? 보존료를 많이 넣으면 유통기한이 무진장 길어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스타박스
      스타박스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45호(2009. 6. 30) 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 이라는 행정규칙이 별도로 있습니다.

      이 고시에 따르면

      제품의 실제 보관 유통조건에 따라 저장온도를 실온유통제품부터 냉동유통제품까지 구분하며,

      (1) 실온유통제품 : 실온이라 함은 1~35℃를 말하며, 원칙적으로 35℃를 포함하되 제품의 특성에 따라 봄, 가을, 여름, 겨울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2) 상온유통제품 : 상온이라 함은 15~25℃를 말하며, 25℃를 포함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3) 냉장유통제품 : 냉장이라 함은 0~10℃를 말하며, 원칙적으로 10℃를 포함한 냉장온도를 선정하여야 한다.

      (4) 냉동유통제품 : 냉동이라 함은 -18℃ 이하를 말하며 품질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냉동온도를 선정하여야 한다.

      (5) 가속실험을 행하는 경우는 앞에서 정하는 유통조건 이외의 온도를 선정할 수 있다.

      온도 이외의 습도나 직사광선 등의 저장조건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을 적용하고

      AOAC 실험방법, Codex 실험방법, 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 또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SCIE)에 해당하는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게재 증명서를 제출한 논문에 기재되어 있는 실험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실험하여 유통기한이 정해집니다.

      참고로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는 미국 국제인증기관이며

      코덱스(Codex)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세계보건기 구(WHO)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식품규격위 원회(CAC;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에서 식품의 국제교역촉진과 소비자의 건강보호 를 목적으로 제정되는 국제식품규격을 의미합니다.

      AOAC 실험방법에 언급하신 미생물의 변화도 등이 고려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식품보존제를 쓸 수록 유통기한이 더 늘어날 수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정도로 쓴다면 식약처에서 유통허가를 내어주지 않을 것이므로 무한정 쓸 수는 없습니다. 식약처에서 식품 첨가물, 첨가제 등을 꼼꼼하게 확인검수 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