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붉은안경곰135
붉은안경곰135

사회복지는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사회복지의 진로에 관하여 상담을 하다 보면 사회복지사 분들이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말을 종종 하는 거 같은데 그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회복지는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말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는 진로 방향성과 전문 분야 결정, 실무 역량과 전문성의 기초 형성, 경력의 연속성과 이직의 방향성, 직업 정체성과 소진 예방, 기관의 규모와 체계가 경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첫 직장은 단순히 일을 시작하는 곳을 넘어

    내가 어떤 사회복지사가 될 것인지, 어떤 분야의 전문성을 쌓을 것인지, 어떤 가치와 태도를 가질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말은 처음 들어보네요..

    본인이 처음부터 원하는 곳으로 갈 수도 있지만.. 돌아서 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가 현재 하고 있는 일이 크건, 작건 관계없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래야지 길도 열리고, 나를 인정해 주는 곳이 많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모든 직장은 첫 직장이 다 중요 합니다.

    그 이유는 그 직장 생활을 잘 해야 앞으로 자신의 사회적응, 문제해결능력, 경험 등의 도움이 되어지기 때문 입니다.

    사회복지 첫 직장이 중요한 이유는 직업적 적응력, 실무경험, 인성 형성 등 장기적인 경력 개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 입니다.

    사회복지 첫 직장은 단순한 경력의 시작이 아니라 전반적인 직업관과 전문성, 네트워크를 다지는 중요한 출발점 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에서 첫 직장이 중요하다라는 것은 사회생활 경험의 토대가 되는 것인데요. 이후의 경력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첫 직장에서 최소 6개월에서 1년은 근무를 해야 하는데요. 그러지 못하고 나오게 되면 경력 개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번 쉽게 나오거나 쉽게 잘리면 안정적으로 일을 해 나가기가 어렵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회복지에서는 첫 직장이 중요하다라는 것인데요. 특히나 사회복지에서는 경력 2년이 되어야 사회복지사 1급 자격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헤 사회복지사로 첫 직장을 잡는다면 최소 2년은 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우리 사회에 사회복지 분야가 너무 다양하고 많아 첫 직장을 어디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하는 업무가 달라지고 정신적 육체적 힘든 분야가 있습니다. 또한, 추후 이직하는데 있어 어디에서 근무했느냐에 따라 경력인정을 받을수도 있고 못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뿐 아니라 모든 직장이 첫 단추가 잘 끼어져야 경력이 잘 형성됩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