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할때 주위해야 할 점은?
아이의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할때 어떤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여러가지 면이 있겠지만 꼭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걸 말씀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담임 선생님과 상담 할 때 주의 할 점은
궁금한 상황을 물어보는 것은 좋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담임선생님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자세 입니다.
대화적 소통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상대가 이야기를 하는 잘 듣는 '경청'의 자세가 중요 합니다.
질문을 던지셨다면 담임 선생님의 내용을 끝까지 기울여 잘 들으시고, 담임 선생님의 이야기가 끝나면 그때 궁금한 사항에서 이해를 하지 못했거나, 추가적 질문을 묻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내 감정과 내 생각을 중요시 하긴 보다는 선생님의 입장이 되어 선생님의 감정 및 선생님의 생각을 공감하는 마음 역시도 중요 합니다.
아이의 조언 및 피드백을 주실 때 안 좋은 부분을 이야기 한다 라는 생각으로 언짢게 듣기 보다는 우리 아이에게 이러한 부분의 문제가 있구나 라는 것을 받아들이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지도해서 개선을 시켜야 하겠다 라는 긍정적인 사고로 유연하게 대처를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교사의 입장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교사는 아이의 일상적인 모습을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있기때문에 그들의 의견과 경험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합니다 부모는 교사의 이야기를 형성하고 그들이 전하는 아이의 학교생황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열린 마음을 가져야합니다
두번째로 ,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자녀에 대한 감정적 부담이나 걱정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감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지만 상담에서는 감정을 억누르고 아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나 상황을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학교에서 겪고있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며 교사에게 어떤 방식으로 지원이 필요할지 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담임 선생님과 상담 시 감정을 자제하고 아이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다루며 협력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담임 상담 시 감정을 자제하고 객관적으로 대화하며 교사의 의견을 존중하고 협력하는 태도로 아이의 성장 방향을 함께 모색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담임 교사와 상담을 할 때에는 담임 교사는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협업, 동반자 관계임을 생각하여 조언을 구하고, 또 가정에서의 아이의 모습과 생활 등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하면 아이가 성장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자리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아이가 부족한 점은 채워 나가고, 또 아이가 잘하는 점은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이야기를 나눈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발달 상황과 성격을 고려해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대화하세요.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협력적인 태도록 해결책을 함께 고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