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23

1910년부터 일본의 무단통치가 시작되었는데요 무단 통치는 어떤 통치를 말하는 것인가요

일제시대 일본은 시기별로 다양한 형태의 통치수단을 들고 나왔는데요 1910년대부터는 무단통치라는 시작하였습니다 듣기에도 거북스럽게 들리는데요 . 무단통치의 개념은 어떠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일제의 한반도 식민통치는 ‘병합’에서 3·1 운동까지(제1기), 3·1 운동 이후 1931년 일제의 만주 침략까지(제2기), 만주 침략에서 일본 패망까지(제3기)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무력에 의한 식민지배라는 점에서 본질상의 차이는 없으나 통치정책과 양상에 따라 각각 무단통치, 문화정치, 민족말살통치의 형식을 띠고 있다. 제1기의 특징인 무단통치는 말 그대로 군이 식민 사회 전반을 통치할 뿐만 아니라 주민의 일상까지 통제하는 계엄 상태가 지속된 지배체제였다. 즉 군인인 헌병이 치안유지는 물론 행정과 사법 전반에 걸쳐 막대한 권한을 가지고 직접 주민을 통치했기 때문에 헌병경찰체제라고도 부른다. 일제는 이러한 체제에 기초하여 조선총독부의 행정관리뿐만 아니라 학교 교원들에게까지 제복과 대검을 착용하게 함으로써 군사적 통치의 실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출처: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헌병을 동원해 조선을 지배한 시기로 1910~1919년 입니다.

    군인들을 다스리는 헌병을 동원해 우리 민족을 칼과 총으로 다스리던 시기를 무단통치시기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