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현재 한국의 환율을 개선하려면 어떤 정책이 우선되어야 하나요?

현재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낮아지는 움직임에 반대되는 움직임이기에 다들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환율을 개선하려면 어떤 정책이 우선되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첫째, 외환시장 개입과 금리 정책으로 단기 안정을 꾀해야 합니다.

    둘째, 수출 경쟁력 강화와 자본 유출입관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즉, 단기, 중장기 대책을 함께 추진해야 환율안정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성장률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한국의 성장률이 1%수준으로 매우 낮고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3.8%입니다 이런 성장률차이가 근본적인 환율차이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미국의 투자때문입니다 현재 국내의 수출 대다수기업들은 본국으로 투자금액을 들고 오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대미투자와 해외 투자가 늘어나고 있어서 한국으로 반입하지 않고 외국 사업장에 그대로 놔두고 있고 이를 현지의 투자재원으로 사용중이며 거기다가 국내의 대다수기업은 국내가 아니라 특히 대미중심으로 엄청난 규모의 투자가 바이든 정부떄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3500억달러의 투자를 정부가 약속한것도 약세의 원인이며 이는 결국 미국내에서 달러를 사서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핵심은 국내에서의 투자가 늘도록 국내기업이나 그리고 외국계기업이 국내의 직접투자가 늘도록 정부가 각종 규제나 불필요한 규제는 다 없애야 하며 일관된 정책과 간소화된 정책 그리고 여러 투자세액공제와 지원금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해서 국내의 직접투자가 늘도록 유도를 해야하며 또한 장기적으로 국내의 경제성장률이 더 올라갈수있도록 잠재성장률을 높이는게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을 내리기 위해서는 우선 해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원화에 대한 수요를 늘려야 합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투자 시장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기업들이 사업을 하기 편한 나라로 만들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투자에 방해가 되는 제도나 규율 같은 것들을 해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에 접근할 기 쉽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한국의 환율 개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정책도 정책이지만 미국과의 관세 문제가 진전이 되어야지

    환율이 안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환율이 개선되려면 일단 복지정책들을 실시할떄 계획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현재의 민생회복지원금을 1차, 2차 약 3달 사이에 많은 자금을 풀다보니, 원화의 가치가 시장에서 크게 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면 타 통화의 가치가 그대로 이더라도 가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이는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높은 원/달러 환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부와 한국은행이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달러 공급을 늘리고, 통화 정책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해외 자본 유입을 유도하며, 수출 확대와 수입 절감을 통해 경상수지를 개선하여 달러를 더 많이 벌어들이고, 미국과 무제한 통화스와프 등 국제 협력을 강화하여 환율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