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독특한병아리168
독특한병아리168

아이 숙제 습관 형성관련 문의 드립니다.

초등학생 아이가 숙제를 미루는 버릇이 있어 매일 갈등이 생깁니다.

부모가 숙제 습관을 잡아 줄때 초기 단계에서 어떤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지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숙제를 미루는 이루는

    책임감이 부족함이 커서 입니다.

    지금 당장 숙제를 해야 하는 부분의 대한 이유가 왜 인지 그리고 숙제가 그리 중요함을 이해하지 못함이

    커서 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숙제를 왜 해야하고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미루어서는 안 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인지를 시켜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입니다.

    초등 시기 숙제 습관은 초기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가 숙제를 미루는 이유는 싫어서라기보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시간·분량을 아주 작게 설정해 부담을 줄여 주세요(예: 10분만 집중하기). 숙제 시작 전에는 해야 할 일을 함께 목록으로 정리해 주고, 완료하면 즉각적으로 작은 칭찬이나 긍정 피드백을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매일 같은 시간에 책상에 앉는 일관된 루틴을 만들어 주면 아이가 자연스럽게 과제 시간을 예측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초기에는 숙제를 한 번에 몯 시키기보다 짧고 가능한 양부터 시작해 성공 경험을 쌓게 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숙제 루틴을 고정하면 예측 가능성이 생겨 미루기 행동이 줄어듭니다.

    숙제를 끝낸 뒤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칭찬을 제공하면 과제 수행에 대한 긍정적 동기가 강화되어 습관 형성이 안정됩니다.

  • 아이에게 스스로 숙제를 할 수 있는 습관을 형성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초등학생 시기에 숙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이후 학습 태도와 자기 관리 능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숙제를 미루는 경우 단순히 “빨리 해라”라는 지시보다는 환경과 동기를 함께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먼저 숙제를 하는 시간을 매일 일정하게 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돌아온 뒤 간단히 간식을 먹고 30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숙제를 시작하는 식으로 일과에 자연스럽게 포함시키면 아이가 덜 저항감을 느낍니다. 또한 숙제를 끝내야만 놀이, TV 시청, 게임 등 즐거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상 구조를 만들어 주면 동기 부여가 됩니다. 부모의 태도도 중요한데, 숙제를 감독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압박하거나 잔소리를 하면 갈등이 커지고 아이가 더 회피하려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숙제를 하는데 습관을 잡아주기 위해서는 우선 학습계획을 잡아놓으세요 무조건 집에오면 숙제부터 하도록 해야합니다 숙제를 하지않으면 다른 활동을 제한하도록 하세요 그리고 숙제를 완료하면 칭찬과 보상을 통해 숙제를 꼭해야하는 당위성을 느끼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