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그러나그러므로
그러나그러므로

다양한 비평 이론이나 접근 방식을 적용 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때 어떻게 이론을 선택하고 적용 해야 하나요????

문학 작품을 분석 할 때 다양한 비평 이론이나 접근방식을 적용 하는데 어려움이 있네요. 어떻게 선택하고 적용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문학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내재적 접근(절대론적, 구조주의) 방법과 외재적 접근(표현론, 반영론, 효용론)이 있습니다. 내재적 접근 방법은 작품 자체에 나타나는 요소들에 집중하여 해석하고자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을 시에 적용한다면 시어의 의미, 운율의 종류, 주제를 표현하는 방식, 비유적 표현 등에 집중하여 작품내용을 분석하게 됩니다. 외재적 접근 중 표현론적 관점은 작품의 창작한 시인이나 소설가의 삶 또는 문학창작 성향, 가치관 등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고, 반영론적 관점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역사적 현실과 특징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이며 효용론적 관점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 어떠한지 등에 집중하여 작품의 효과를 설명하여 합니다. 소설 '운수 좋은 날'을 표현론적 관점으로 보게 된다면 작가인 현진건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살펴보고 그의 다른 작품 '빈처', '술 권하는 사회' 등을 연결하여 작품의 주제의식 및 공통된 성향을 알아보고 작품을 분석해 보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반영론적 관점으로 본다면 일제강점기의 하층민의 생활상이 어떠했는지 그 비참한 삶의 상황을 조선의 백성들이 어떻게 살아내었는지 왜 일제강점기에 가난한 도시민들이 그런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는지 등에 집중하여 작품해석을 하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효용론적 관점으로 '운수 좋은 날'을 바라본다면 독자들이 주인공 김첨지와 그 아내의 이야기를 통해 어떤 감정을 느끼는 어떤 반응이 일어났는지 독자의 생각과 삶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에 대해 집중하게 됩니다. 문학작품을 해석하고자 할 때 위에서 말한 어떤 한 가지 방법이 진리가 될 수 없습니다. 한 작품을 여러 방법으로 비추어 보고 작품을 좀 더 깊이 있게 해석하는 것이 가장 좋은 태도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