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22.12.10

자기방 정리정돈 잘하게 하는방법 있을가요?

자기방 정리정돈 잘하게 하고싶네요.

놀기만하고 정리정돈은 전부 어른들 몫이네요.

아이들 정리정돈 잘하게 하는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리정돈도 습관인 것 같아요.

    집에 돌아오면, 아이가 정리를 안한다고 길게 잔소리를 하는 것 보다는 짧게 이야기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미리 아이가 집에 와서 할 일들을 메모를 해놓거나, 보드판에 적어 놓는 등 바람직한 생활 습관이 반복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하셔야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아이에게 정리하는법을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작은 공간부터 시작해서 같이 연습을 해보는것이좋으며

    처음에는 매우 작은 공간부터 스스로 정리할수있게 하고

    칭찬해주고

    다음 범위를넓혀가면서 칭찬해주고 이런식으로 강화시키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정리정돈 하는 습관을 안착시키기 쉽지 않습니다.

    보호자와 함께 정리하는 연습을 길러야 합니다.

    보호자께서 아이와 함께 같이 정리하는 것부터 먼저 습관화 해보세요.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0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세요. “블록은 노란 상자에 담아둘까?” “책은 책장 첫번째 칸에 꽂아둘까?” 하는 식으로 차근차근 위치를 알려주며 정리정돈에 참여시켜 보세요. 이때 블록 정리 상자에는 블록 그림을, 책을 꽂은 책장에는 책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를 붙여주거나 직접 그림을 그려 붙이게 해주세요. 자동차 장난감의 경우 공간을 정해 테이프로 주차장 라인을 만들어주면 아이가 한결 정리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정리정돈할 시간을 예고해주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엄마랑 마트에 가야 하니까 시곗바늘이 12에 가면 정리하자”와 같이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정해진 시각과 장소를 말하며 습관을 만들어주는 방법은 아이한테도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연습해보는 것이라 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계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리정돈 교육을 할 때는 책상 앞에 앉은 아이 시선을 기준으로 필기구와 책장처럼 손에 잡히는 근거리부터 옷장과 침대 등 원거리까지 정돈 범위를 점차 넓혀가면 좋습니다. 정리정돈의 규칙을 정할 때 열쇠는 아이한테 맡겨야하구 자녀가 직접 선택한 정리함을 몇 개 사서 책은 책끼리, 로봇은 로봇끼리, 인형은 인형끼리 분류하는 등 다소 투박하게 시작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처음부터 정리정돈에 익숙한 아이는 없으니 가지고 있는 물건들을 나름의 규칙에 따라 ‘큼직큼직한 카테고리’로 나눠보면 좋습니다.

    아무리 좋은 정리정돈법도 스스로 흥미가 안 생기면 ‘하기 싫은 일’이 됩니다. “밥 먹기 전까지 치워!” 많은 부모들이 정리정돈의 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지 않은 채 다그치듯 막연한 미션을 주지만 이런 방식은 좋지 않죠. 정리정돈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해 ‘어질러진 방’과 ‘잘 정돈된 방’ 각각을 촬영한 ‘비포-애프터’ 사진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도 좋습니다. 정리를 마친 공부방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에게 어떤 모습이 더 마음에 드는지 선택하게 합니다.

    아이가 자기 물건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게 돕고, 방을 어떻게 정리하고 싶은지 연습장에 밑그림을 그려보게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공부할 때 필요한 물건, 앞으로 갖고 놀지 않을 장난감, 다른 친구들에게 주면 더 가치가 커질 것 같은 물건 등 구분 작업을 해보라”며 “사용 여부를 먼저 확인·분류하면 본인의 책과 장난감 등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더불어 물건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갖게 되고 정리수납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지겠죠?

    어른들 기준으로 보면 아이의 서툰 정리정돈 태도가 답답해 보일 수 있지만 처음부터 엄격한 규칙을 정해두는 건 좋지 않습니다. 아이마다 나름의 정리법과 패턴이 있습니다. 놀거나 공부할 때마다 매번 물건을 정리하기보다는 하루에 한 번, 시간을 10~15분 정도로 제한해 자유롭게 정리시간을 갖게 하는 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정리정돈을 하지 않는다면

    놀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아이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독립심을 갖도록 교육하셔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