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미국에서 25%자동차 관세를 더 올릴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가운데, 철강관세 압력은 어느정도 인지 궁금합니다.

관세품목별로 정말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려고 미국에서 강하게 압박을 하고 있는데, 자동차관세와 더불어 철강관세의 부담을 어느정도 지게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에 부과하던 품목별 관세에 대해서도 관세를 더 높일수 있다고 발언하고 있습니다. 철강은 실제로 25%에서 50%로 상승하였으며 이에 따라 철강 주요 수출국들은 더 많은 부담을 지게 되었습니다.

    관세율의 상승에 대한 부분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국가간 무역협상의 진행상황도 계속 주시해야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포고문은 적시된 대로 미국 동부시간 4일 0시 1분을 기해 발효됐습니다.

    이에 따라 철강 알루미늄 제품은 미국으로 수출 시 예외 없이 50%의 관세를 부과 받게 됐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5%의 관세가 부과된 영향이 본격화된 5월의 대미 철강 수출은 20.6%나 감소됐습니다. 아직 50%의 관세영향은 실질적인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미국 상무부가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을 철강 알루미늄 파생상품 관세 부과대상에 새롭게 포함시켜 6월 23일 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냉장고와 세탁기를 수출하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분야의 미국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로 가전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이 크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철강 관세가 25% 관세 부과에서 50%로 상승하면서 부담이 커졌습니다.자동차와 철강 모두 미국 시장에 대한 관세 부담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며, 향후 추가 인상이나 보복 관세가 나올 경우 양 산업 모두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50% 인상될 수 도있느 자동차 관세의 경우 인상시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타격이 클 것입니다. 특히 완성차 부분에서의 관세 인상률은 미국내 오나성차 시장의 가격 경쟁에서 큰 핸디캡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