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진기한올빼미129
진기한올빼미12923.04.27

늑대에서 개로 진화관련 며느리 발톱은 어떤 증거가 될수 있나요?

개의 앞발가락을 살펴 보면 눈에 보이는 것은 네 개이지만 종아리 부위에 한 개가 더 숨어 있습니다. 이것이 다섯 번째 발가락인 며느리발톱 입니다. 며느리발톱은 개들이 야생동물에서 인간의 반려동물로 넘어오는 진화의 흔적을 보여준다고 하는데 어떤 증거가 될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며느리발톱이라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진 발톱은 개의 조상 중 하나인 표범과 같은 야생 동물들이 사냥에 사용하는 발톱과 유사합니다. 이러한 발톱은 개가 야생 동물들을 사냥하던 시기에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개의 진화 과정에서 이러한 특징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며느리발톱은 개의 발바닥 부분에 위치하며, 발가락 끝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띄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며느리발톱이 개의 몸에서 발견되는 것은, 개가 인간의 반려동물로 길들여지기 전에는 날카로운 발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야생동물들은 발바닥에 있는 발톱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더 깊은 땅으로 파내어 먹이를 찾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반려동물로 길들여진 개는 집안에서 살면서 발톱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발톱이 짧아지고 둔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며느리발톱은 강한 힘과 날카로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에 개가 인간의 반려동물로 넘어온 과정에서 발전해온 진화의 흔적이라고 해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며느리발톱으로 늑대 등 야생동물들은 나무에 쉽게 올라타 사냥을 하게됩니다.

    이러한 수렵채집기를 지나 농경사회로 건너가면서 늑대는 인간의 반려동물로 정착하고 높은 곳에 오를 일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며느리발톱은 평지를 걸을 때 방해가되기 때문에 점점 퇴화되어 현재 개들의 발 모양으로 진화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며느리발톱은 늑대나 고양이 등이 나무나 절벽을 타고 오르는데 사용하는 다섯째 발가락입니다.

    개는 인간의 반려동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며느리발톱이 점차 퇴화했습니다.

    개의 조상인 늑대들은 높은 곳에 올라간 먹이를 사냥하거나 자신보다 강한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기 위해 나무나 절벽을 타고 올랐습니다.비결은 바로 며느리발톱에 있었습니다.

    비록 지금의 개에게는 퇴화하였지만 여전히 이 발톱이 남아있는 것은 개와 늑대의 진화 관련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며느리 발톱은 늑대나 고양이와 같이 나무나 절벽을 타고 오르는데 유용한 발가락이었지만, 개는 인간의 반려동물로 살면서 높은 곳을 오를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며느리 발톱은 땅에 닿지 않고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었고, 달리기에 방해가 되는 부위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