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국가별 위치에 따라서 달의 모양이나 그림자가 다르게 보일수있나요?
각 국가별로 달의 모양들이나 가려지는 부분 또는 다르게보이거나 각도같은것들이 다르게 보여지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는 달의 위상과 타국이나 반대편쯤에 위치한 국가들에서 보는 달의 위상이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동시에 공전하기 때문에, 달을 볼 때 달의 위치와 지구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모양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는 경우에는 달이 더 크고 둥글게 보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이 천정에 있는 경우에는 달이 보다 작고 타원형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달의 그림자 역시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의 모양에 영향을 줍니다.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의 그림자가 달의 표면을 비추는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국가에서는 달의 그림자가 더 길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위상은 지구의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은 지구의 위도와 경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국가나 지역에서 본 달의 모양과 위상은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도에 따른 변화: 지구의 위도에 따라 달의 뜨거나 지는 방향과 시점이 변합니다. 적위와 기준경위(예: 적위 23.5도 N의 기준경위)와 같은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달의 우뚝하게 떠 있는 위치와 떨어져 가는 위치가 결정됩니다. 이로 인해 극지방에서 보는 달의 우상면과 적도 지역에서 보는 달의 우상면이 다를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른 변화: 계절에 따라 달이 뜨고 지는 위치가 변화하며, 이는 달의 위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지구의 공전 방향에 따라 어떤 지점에서 본 달이 어느 시간에 어느 위치에 뜨고 지는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에 따른 변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달의 위치와 위상이 계속 변화합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지점에서 본 달의 모양이나 떨어지는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가려지는 부분: 달의 일식 또는 월식을 관찰하려면 지구의 위치와 달의 위치가 특정한 방식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에서 관찰하는 것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지구의 지리적 위치, 계절, 시간, 지구의 공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각 국가나 지역에서 보는 달의 모양과 위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달을 바라볼 때, 달의 모습은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달의 공전과 자전 주기가 동일하며 이를 '동주기 자전’이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지구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달의 앞면만 보게 됩니다.
그러나, 달의 위상은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에서 보는 달과 남반구에서 보는 달은 상하가 뒤집힌 모습으로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지구의 공전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국가별로 달의 모양이나 그림자가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주로 지구의 위치와 시간, 그리고 달의 위상에 따라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국가별로 달의 모양이나 가려지는 부분, 각도 등이 다르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상의 모든 지역에서 같은 달을 볼 수 있습니다.
달의 위상은 지구와 달,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구에서 볼 때 달이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초승달, 태양과 반대편에 있으면 보름달로 보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보는 달의 위상과 타국이나 반대편쯤에 위치한 국가들에서 보는 달의 위상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보름달을 볼 때, 미국에서도 보름달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달이 하늘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보름달이 뜨는 시간은 미국에서 보름달이 뜨는 시간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