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식습관·식이요법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식습관·식이요법건강관리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11.29

시금치를 많이 먹으면 결석이 생기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시금치나 김을 많이 먹으면 결석이 생길수 있다고 들었는데요. 시금치나 김에 어떤 성분때문에 결석같은것이 생길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시금치에는 옥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옥살산은 수용성 칼슘과 결합하여 수산칼슘을 형성하는데, 수산칼슘은 결석의 원인이 됩니다.


    옥살산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500mg입니다. 따라서, 시금치를 하루에 200g 이상 섭취하면 결석이 생길 위험이 높아집니다.


    시금치는 데쳐서 먹는 이유로, 데치면 옥살산의 함량이 약 20% 감소합니다.


    그리고, 시금치와 김을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시금치와 김을 함께 먹으면 옥살산의 함량이 더 높아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9

    안녕하세요. 정해정 영양사입니다.

    시금치는 생으로 먹으면 안 된다고 합니다. 시금치에는 수산(옥살산, oxalic acid)의 함량이 높아서 체내에서 칼슘과 결합해서 수산칼슘염(칼슘옥살레이트)을 만듭니다. 문제는 이 수산칼슘염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뭉쳐서 신장결석 등이 쉽게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모든 신장결석의 약 75%가 주로 수산칼슘염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시금치는 끓는 물에 한번 데친 후 얼음물에 담갔다가 그 물을 꼭 짜내고 요리에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끓는 ​​물에 삶아내면 수산함량이 30~87%까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수산이 완전하게 제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칼슘이 풍부한 김, 멸치, 목이버섯 등과는 함께 섭취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영양전문가입니다.

    시금치 안에는 수사님 많이 들어 있는데 수산이 몸 속으로 들어가면 몸에 들어있는 칼슘과 만나면서 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주로 생으로 먹었을 때 그런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익히면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