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대벌레같은 벌레들은 내장이 있는건가요?

대벌레같은 벌레들은 내장이 있는건가요?

대벌레도 다른 동물들처럼 내장 등 내장기관이 다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생명력을 유지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대벌레(Phasmatodea)와 같은 곤충들도 사람이나 다른 동물처럼 생명 유지에 필요한 내장기관을 모두 갖고 있는데요, 곤충은 우리와는 구조가 다르지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장기관(소화기관, 순환계, 신경계, 호흡계, 생식기관 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대벌레는 입-식도-모래주머니(근육)-위-장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 잎을 먹고 소화합니다. 잎을 섭취하여 소화기관에서 에너지를 얻고, 이를 체액으로 운반해 온몸에 전달합니다. 공기 중의 산소는 기관계(기관과 기문)를 통해 직접 몸속 세포로 공급되며, 뇌와 신경절을 통해 감각 자극에 반응하고, 외부 위협에 도망치거나 위장 행동을 취하고, 내장기관의 활동과 외골격 보호가 조화를 이루며 생존을 이어가게 됩니다. 즉 대벌레도 사람이나 다른 동물처럼 내장을 갖춘 완전한 생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

    대벌레와 같은 곤충들도 다른 동물들처럼 복잡한 내장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명 활동을 유지합니다.

    내장은 우리와 비슷하게,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신경계, 생식계 등으로 나뉘어 있고

    구조나 방식 등은 동물과 다를 수 있으나 기능을 가지는 부분들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은 혈관을 통해 피가 순환되는 폐쇄 순환계를 가지지만

    대벌레의 경우는 몸속 빈 공간을 혈액이 채우고 잇는 개방 순환계를 가진것 처럼 말이죠.

    또한 호흡도 허파(폐)가 아닌 기관과 숨구멍을 통해 하는 것처럼, 차이는 있지만 기능들은 다 하고 있죠.

    곤충들이 외형적으로는 단순해 보일 순 있지만,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복잡하고 정교한 내장 기관들이 완비되어 있으며, 먹이를 소화하고 영양분을 순환 시키고, 산소를 공급 받고,

    노폐물을 배설하여 생명력을 유지하는 타 동물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네, 대벌레도 다른 동물처럼 생명 유지를 위한 내장 기관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비록 척추동물과는 구조가 다르지만, 대벌레는 섭취한 나뭇잎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소화계, 혈액과 유사한 체액을 순환시키는 개방형 순환계, 피부에 있는 기문이라는 구멍으로 공기를 받아들여 온몸으로 전달하는 호흡계, 그리고 신경계와 생식기관 등 생존에 필수적인 내부 기관들이 모두 존재합니다. 이러한 내장 기관들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며 에너지를 만들고 몸을 움직이게 하여 생명력을 유지합니다.

  • 대벌레도 당연히 다른 동물처럼 내장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곤충의 내장기관은 척추동물과는 차이가 있을 뿐, 소화나 순환, 호흡, 신경계 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대벌레의 주요 내장기관이라면 소화기, 순환기, 호흡기, 신경계, 생식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벌레는 이러한 내장기관들의 유기적인 작용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즉, 곤충의 신체 구조는 척추동물과느 분명 다르지만, 생명 활동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