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는 왜 사랑니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사랑니는 어떤 역할은 하는 이빨이고 왜 사랑니라고 부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사랑니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식 명칭은 wisdom tooth입니다. 즉, 지혜가 생길때쯤 난나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고, 치아가 나는게 첫사랑을 앓듯이 아프다고 해서 사랑니라 합니다.
사랑니가 맹출되는 시기는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까지입니다이 시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첫사랑 등으로 인해서 가슴앓이를 많이 하는 시기라고도 합니다 이런 시기에 나는 치아여서 사랑니라고 하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사랑니는 원래 다른 치아들처럼 씹는 기능을 하는 치아였고, 정식명칭은 제3대구치입니다. 그런데 인간이 음식을 부드럽게 잘라먹고 익혀먹으면서 턱이 점점 작아짐에 따라 맨 뒤에 나오는 제3대구치가 나올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고, 지금은 퇴화중에 있다고 해요. 그래서 맹출하는 위치나 방향도 이상하고, 모양도 이상하고, 아예 없는 사람도 있고 그런거예요. 사랑니라는 이름은 이 3대구치가 맹출하는 나이가 17세쯤이라서 한창 사춘기, 첫사랑이 시작될 즘에 첫사랑처럼 아프게 난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입니다. 요즘엔 아이들이 빨리 성숙해서 지금이랑은 맞지 않는 것 같기도 하네요^^
사랑니는 제3대구치(세번째 큰 어금니)입니다. 원래는 세번째 큰 어금니까지 바르게 나와서 씹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진화과정에서 턱뼈가 점차 짧아지고, 식습관이 달라지면서 퇴화된 것입니다. 보통 사랑니가 맹출하는 시기가 19세 이후로 사랑을 깨닫게 되는 나이때 나는 치아라고 사랑니라고 불렀습니다.
사랑니는 진화 과정에서 퇴화한 치아입니다. 특별한 역할이 현재로써는 없으며, 사랑을 시작하는 20세전후로 나와서 붙은 이름입니다. 유전적으로 사랑니가 선천적으로 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불편감을 유발하는 사랑니는 발치가 필요로 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