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고혹적인까치278
고혹적인까치278

'통화=문자 주고받음' 이게 맞나요?

단어 '통화'의 정확한 뜻이 궁금합니다.

누구는 '통화=전화통화 O, 문자 X'라고 하고.

다른 누구는 '통화 =전화통화도 O 문자도 O'라고 하는데. 대체 누구 말이 맞나요?

일단 표준 사전에는 전화통화만 나와있고, 고려대 사전에는 '말을 주고받다'로 나와있던데..

국어국문학과나, 아님 정확히 아시는 전문가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통화의 사전적 의미는 "전화로 말을 주고 받음" 또는 ''말을 주고 받음' 입니다.

    과거의 경우 말을 주고 받는 소통의 수단으로 문자, 전언, 전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를 통해 직접 말을 전하는 전언, 편지(엽서, 쪽지) or 전보와 같은 문자 소통 수단을 제외하고 전화기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말을 전달하는 '전화통화'를 통상적으로 통화라고 하였습니다.

    사실 '통화'라는 말은 한자어인데 通話에서의 話(말씀 화)는 言(말씀 언)자와 舌(혀 설)자가 결합한 모습의 한자어이므로 표기 문자적 의미로 엄격하게 본다면 혀를 사용하여 말하는 것만이 '통화' 라고 규정할 수 있으므로 말소리를 전달하는 전화통화만이 통화라고 하는 것이 지금껏 맞다고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현대의 경우 스마트폰이 발달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방법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것을 통한 메신저 사용이 늘어나면서 말을 전하는 전화통화 외에도 메신저를 통한 문자통화도 넓은 의미의 통화로 인정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신저를 통해 직접 목소리로의 통화와 문자 모두가 가능해져 넓은 의미의 통화로 통합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통화는 문자나 카카오메세지를 주고 받는 것 이외에 실제로 전화하여 이야기를 한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요즘은 메세지앱에 카카오콜 등 음성통화 기능이 있는데 이 경우 약간 다른 종료의 통화임을 알수 있도록 카카오콜 라인콜 메신저통화 등으로 구분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통화(通話):전화로 상대방과 대화하는 것
    입니다

    한자를 말그대로 뜻풀이 하자면

    말하신 대로 말이 통한단 의미니까 문자메세지도 굳이 따지자면 포함이 되지만

    일반적으론 문자가 아닌 목소리로 하는 전화통화만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우선 표준국어대사전 기준으로는 문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하기 표준국어대사전 기준 의미를 참조하세요

    _________________

    통화

    (통화-하다2, 통화-되다)

    「명사」

    「1」

    전화로 말을 주고받음.

    통화 중.

    통화가 끝나다.

    「2」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통화한 횟수를 세는 말.

    전화 한 통화만 쓸 수 있을까요?

    전화 한 통화면 될 일을 괜히 어렵게 생각하였다.

    ________________

    그리고 통신업계 용례에서도 통신사 요금제에서 “통화 + 문자 기본 제공”이라고 따로 표기합니다.

    즉 “통화”는 음성 통화(전화)를 의미하고, “문자”는 별도로 구분됨

    따라서 실무적으로도 통화 ≠ 문자, 둘은 별도 서비스로 취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선 통화는 전화상으로 말을 주고 받는 것을 의미 합니다. 즉 전화상으로 말을 주고 받는 것을 의미 하지 문자를 주고 받는 것은 통화가 아닌 문자 송수신 이라고 합니다. 영어에서도 문자는 TEXT 라고 하고 통화는 CALL 이라고 다른 단어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