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2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휴수당 및 급여 계산 확인 해주세요.주휴수당계산 방법이 맞는지 급여는 문제 없는지 확인 부탁드려요.급여는 2025년 최저입금으로 계산했습니다.틀린부분이있으면 계산도 같이 부탁드려A 제안1) 주 4일 × 5시간(주 20h, 주휴 5h) — 인원 2명1인 월급: 25h × 4.345 × 10,030 = 1,089,509원2명 합계: 2,179,018원2) 주 2일 × 5시간(주 10h, 주휴 없음) — 인원 2명1인 월급: 10h × 4.345 × 10,030 = 435,804원2명 합계: 871,607원총 인건비(월)2,179,018원 + 871,607원 = 3,050,625원 - 근무자 휴게시간 각 1시간으로 계산B 제안1) 주 4일 × 5.5시간 (주 22h, 주휴 5.5h 포함) — 인원 2명1인 주 유급시간: 22 + 5.5 = 27.5시간1인 월급: 27.5 × 4.345 × 10,030 = 1,198,460원2명 합계: 2,396,919원2) 주 2일 × 5.5시간 (주 11h, 주휴 없음) — 인원 2명1인 월급: 11 × 4.345 × 10,030 = 479,384원2명 합계: 958,768원총 인건비(월)2,396,919원 + 958,768원 = 3,355,687원 - 근무자 휴게시간 각 30분 으로 계산C 제안1) 주 5일 × 5.5시간 — 인원 2명주 소정근로시간: 27.5h → 주휴 5.5h 포함 총 33.0h1인 월급: 33.0 × 4.345 × 10,030 = 1,438,152원2명 합계: 2,876,304원2) 주 2일 × 5.5시간 — 인원 2명주 소정근로시간: 11.0h (주휴수당 없음)1인 월급: 11.0 × 4.345 × 10,030 = 479,384원2명 합계: 958,768원총 인건비(월)2,876,304원 + 958,768원 = 3,835,072원 - 근무자 휴게시간 각 30분 으로 계산D 제안1) 주 5일 × 5시간 — 인원 2명주 소정근로시간: 25h → 주휴 5h 포함 총 30h1인 월급 = 30 × 4.345 × 10,030 = 1,307,014원2명 합계 = 2,614,028원2) 주 2일 × 5시간 — 인원 2명주 소정근로시간: 10h → 주휴수당 없음1인 월급 = 10 × 4.345 × 10,030 = 435,804원2명 합계 = 871,607원총 인건비 (월)2,614,028원 + 871,607원 = 3,485,635원 - 근무자 휴게시간 각 1시간으로 계산
 -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Q. 가스보일러 교체하는데 교체비용 얼마가 듭니까?단독주택에 살고있습니다. 가스보일러를 교체 할 건데 설치 비용은 어떻게 됩니까?×마켓에서 보일러 검색을 하면 20H 기준으로 50~60만원 정도 나오는데 기기값? 설치비? 궁금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포괄임금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이번에 이직 할 곳이 포괄임금제입니다.포괄임금제가 처음이라..질문드립니다.1. 예를들어 근로계약서에 30h 포괄이면 실잔업이 30h 인지, 잔업1.5배로 실잔업시간 20h으로 계산되는지 ?2. 주말특근(출장)을 한다면 포괄30h 에 들어가는지 ? (특근수당은 아직모름)3. 업무 특성상 잔업이 발생하는경우 잔업은 해야하만 무조건 30시간 채워야 한다 라고 해석 할 필요는 없는지..궁금합니다..(강요 글이 있기에)아직 근로계약서를 보지 못해서 구체적인 회사규정은 모릅니다.. 포괄임금제에 좀 알고 서명 하고 싶네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포괄임금제 기준) 한달 만근 채우기 or 3일 월급 더 받기?안녕하세요. 출산 휴직을 앞두고 휴직일자 계산 중입니다. 현재 포괄임금제 기준(월 야근 20H포함) 세전 6600만원 정도의 연봉을 받는 중입니다.휴직일자 산정 시 한달 만근하면 월급이 더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매년 3월 월급부터 상승된 연봉이 적용 됨1안) 22년 11월 1일 ~ 23년 1월 29일 (출산휴직 90일 종료) + 1월 30/31(1월 working day 2일) 연차휴가+ 2월 1일~28일 만근 (연차휴가) + 3월 2일까지 연차휴가(3월 working day 1일) 후 3월 3일 부 육아휴직 시작2안) 22년 11월 7일 ~ 23년 2월 4일 (출산휴직 90일 종료) + 2월 5일~28일 연차휴가 (만근 불가) + 3월 1~6일 연차사용 후 3월 7일 부 육아휴직 시작 2안을 선택하는 경우 출산휴직으로 인하여2월 만근은 불가하나, 육아휴직 시작일이 4일 늦춰지는 효과가 있습니다.(이 경우 3일치 월급을 더 받을 수 있는 걸까요?) 3일치 월급 손대보더라도 만근을 채우는 것/ 만근 채우지 않고 3일치 월급을 더 받는 것 중 어떤 방법이 저에게 좀 더 유리할지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휴일·휴가고용·노동Q. 근로시간단축 중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하는 경우 차감일수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하면, 단축(6h)시간과 상관없이 일수만 적용하여 10일 만큼만 휴가를 부여하면 되는지, 1day 2h을 보전하여 60h 10days 사용 후, 20h 만큼 추가 부여해야 하는지 노동법의 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단체협약 등 추가로 정한 바는 없습니다.Q2.위의 상황에서 어떠한 주의 목요일부터 가족돌봄휴가 또는 가족돌봄휴직을 사용한다고 하는 경우 해당 주차의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법적 문제가 없나요?답변을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고정OT제도에서 연장근로 관련 질의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아래와 같은 근무형태 일 때,고정OT 20h을 운영하고 있다면20h안에 포함되는 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조건 : 토요일(무급휴무일), 일요일(주휴일) / 휴게 및 야간가산은 없다고 가정평일 연장근무 (1.5배) : 5.5h토요일 근무 (1배) : 2h *해당 주중 근로시간 40h 미만으로 인해 발생되는분토요일 근무 (1.5배) : 8h휴일 근무 (1.5배) : 8h휴일 연장근무 (2배) : 4h위 조건에서 고정OT를 20h 운영하고 있다면20h에 어떤 항목들이 들어가는지 궁금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휴일근로에 연장,야간근무수당 책정 문의초과근무 3시간) 3h*0.5배=1.5h야간근로수당(22:00~02:00)4h*0.5배=2h16.5+1.5+2 = 20h기본급기준 20h의 임금을 지급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빠른답변부탁드립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근로계약서 및 임신출산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전환수당 290,000기타수당- 연장수당(20h) 194,498 월급여=1,549,498 이렇게 되어있는데1) 연장 수당(20h)이 월급여에 포함되어있다고 되어있지만 실제로 매달 연장근로 승인을 얻어야하며 최근에는 20시간 근무 언제 했냐며 상급자마다 시간외를 더 챙겨주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 계약 20시간도 안줄려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2) 7년차가 되어가지만 아이 둘을 낳다보니 승진은 애매 하게 못하고 밀리게되어 계속 사원입니다.. 이것도 부당에 해당되나요? 3) 첫째 임신당시 임신사실을 알리고 단축근무를 사용했더니 시간외를 못받는다며 기본 연봉만 받고 근무 했습니다.. 둘째때는 억울해서 단축근무 안쓰고 일했구요.. 하지만 당직은 동의없이 무조건 그냥 근무했습니다..이부분도 근로법 위법이 해당되나요? 3) 월급여명세서 및 계약당시 "연봉계약직" 이라 알고 들어왔지만 매년 연봉계약에 대한 서명을 단 한번도 한적 없습니다... 심지어 당직 근무에 대해서도 동의서를 적은 적이 없는데.. 근로계약서에보니 "사업장 특성을 고려하여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근로자의 시간외, 휴일, 야간, 휴일초과 근로에 대하여 이의없이 동의 한다" 가 있더라구요 이런경우 아무 의미 없나요? 4) 휴일에 당직을 서는데 단순히 사무실을 지키는게 아닌다른 사업장 노동(포장노동)도 지원합니다..하지만 회사에서 꼼수를 펴서인지 하루 8시간 근무하지만 6만원으로 책정되어있습니다.노동이 들어가면 시간외로 넣어야하는걸로 아는데이게 맞는걸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대기업 그룹사인데 너무 숨막혀서 도움드립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육아기 단축근로시 고정시간외시간 산정 방법20h 단축근로시 원래 급여 400만원 → 200만원 적용.다만 근로자가 명시적으로 연장근로를 청구하여 연장근로를 한다면 이때 이 근로자의 고정연장시간은 28h 인가요? 아니면 28h / (20h / 40h) = 14h인가요? 결론 : 20h 단축근로자의 고정연장시간을 기존 근로자와 동일하게 둬야 하는지(28h) 비례하여 삭감한 시간으로(14h) 둬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단축근무 급여계산 (일시적인 경우)안녕하세요.예를 들어 직원(월급제)이 특정기간(일시적) 만 기존 주40h 근무에서 주20h 근무로 단축근무에 들어간다고 가정할 경우, 6/22 ~ 7/15 (7월 급여분) 계산은 어떻게 하는 것이 맞을까요? (6/15~6/21은 무급휴가라 실제 근무일 30일 중 24일)*급여 기산일: 전월 16일 ~ 당월 15일 *월 급여: 3,000,000원 가정1. 3,000,000원/30일*24일/2 = 1,200,000원2.3,000,000원/209h*104.28/30일*24일=1,197,474원그리고 급여 외 직급수당을 지급하는경우 급여와 마찬가지로 별도 계산을 해야하는지, 아니면 실비의 개념으로 수당 본 금액을 다 지급하여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수당 계산방법과 관련하여 별도 규정 내용이 없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