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4건의 질문
- 양도소득세세금·세무Q. 1가구1주택 양도소득세 면제 가능한가요???(75/80자)1.부동산 구입현황 1) 조정대상지역 공고전 2020년11월30일 아파트 74m2 1채매입(조정대상지역공고일:2020년12월18일) 2)현재 보유한 아파트는 조정지역이며(공고:2020년12월18일)거주는 하지않고 보유만 3년계획임 (매매예정일 2023년 7 월12일) 3)현재 매입한 아파트에 거주하지 않고 직장으로 인하여 타 지역에 거주하고 1가구 1주택 조유자임2.질문내용 1)조정대상지역 아닌상태의 공고전 아파트를 매입하고 현재는 조정대상지역상태인테 보유만 3년하고 매매시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면제 대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임시저장질문 등록아하의 세금·세무 답변은질문 내용에 기반한 전문가의 개인적 견해이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전문가, 소속사무소 및 아하는 답변과 관련하여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런 질문은 신고 받을 수 있어요.수당, 퇴직금 계산 요청 (인사노무 분야에 질문해 주세요.)
- 부동산경제Q. 왜 평균적으로 6월에는 집값이 최저점을 찍고 하반기에 반등을 하는 건가요?안녕하세요.세종시에 거주중인 신혼부부입니다.현재 21년 12월에 25평(59m2) 1년 반전세 계약으로 보증금 1억9천에 월세 20씩 지불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요즘 세종시 전세값을 보니 보증금이 1억 8천짜리이하 전세매물이 많더라구요.그리고 6월 이전 입주조건이 많아서...12월까지 기다리지 않고 6월~8월 사이에 집주인과 협의를 해서 이사를 가볼까 생각중입니다.괜찮은 생각인가요??그런데 이전부터 패턴을 보니 6월 이전에 집값이든 전세값이든 최저점을 찍고난 후 하반기에 반등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 부동산경제Q. 서울시 장기전세에 저도 무주택으로 간주하나요?있고 저처럼 강제경매는 안된다고 하네요 (여러명은 피해자고 전 또 아닌가봅니다)그러던 중 전용60m2 1.6억 이하 빌라에 대해서는 무주택으로 인정한다고 글을 보았습니다. 이 경우에도 장기전세는 지원할 수 없나요?
- 취득세·등록세세금·세무Q. 부부간 증여(토지 100%와 건물 50%) 하고 셀프 등기 하였습니다.없습니다. 세무서 문의해 보니 공시가격으로 신고 가능하다고 하는데 얼마를 신고하여야 할까요? 토지 면적182m² 토지대장 개별 공시지가(원/ m²) 1,600,000 개별 주택가격 407,000,000 원 토지 100%와 건물 50% 증여 주택가격 확인서와 토지대장 첨부합니다^^ 또하나 궁금한점은 주택가격에 대지와 건물 가격이 함께 산정 되어 있는것 같은데 (???) 토지 100% 건물 50% 증여 이기 때문에 주택가격에서 차지하는 토지 면적은 제외하고 신고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