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프란츠 카프카는 체코사람인가요? 독인 사람인가요? 가끔 독인인으로 소개하는 사람도 있던데 어떤 국적으로 보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83년, 카프카는 프라하에서 부유한 상인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헤르만 카프카(Hermann Kafka, 1852–1931)는 자수성가한 유대인 상인이었다.아버지가 아들에 대한 기대가 커서 당시 돈이 많이드는 독일어학교에 보낸게 독일문학을 쓰게된 계기가 되었죠~ 체코에서 태어난 유대인 독일문학가
학문 /
역사
23.10.25
0
0
유태인과 유대인은 같은건가요?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 유태인 뜻을 보면 될 것입니다. 발음이 비슷하지만, 하나는 히브리어이고 하나는 한자어입니다. 우리나라와 동양에 성경이 전파될 때, 그냥 발음대로 한글로 써도 될 것을 무 조건 한자로 쓰려고 하다 보니 생긴 말이 `유태인`의 어원입니다. 유대인과 동시에 사용되는 유태인 뜻은 한자어 "猶太人"에서 왔습니다. 동양권에서 유대인을 한자로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어이며, 여기서 유(猶)자는 "오히려, 같다"는 의미가 있고 태(太)는 "크다, 지나치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10.24
0
0
중세시대에 종교 개혁이 일어난 배경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톨릭의 부폐와 미묘하게 대립되는 알프스 이북과 이남의 황제와 교황의 대립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루터 개인의 업적 뿐 아니라 시대적 배경 역시 종교개혁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교회 개혁에 대한 요구는 루터 이전에도 있었고 심지어 이후에도 있었다. 종교개혁 직전 시대에는 아비뇽 유수로 촉발된 교회의 분열시기가 있었다. 95개조 반박문이 등장하기 100여 년 전인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로 분열은 마감했지만 교황청은 잃어버린 권력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했고 이에 대한 반발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아울러 분열의 통합 과정에서 교황수위권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으며, 이는 종교개혁가들이 교회의 전통이 갖는 신앙적 권위를 부정하는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학문 /
역사
23.10.22
0
0
인도의 모디총리가 인기있는비결은?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근 뉴스를 보면 인도를 경제적으로 부흥하게 만들고 있는 선두주자로 "메이드 인 인도"를 꿈꾸며 중국을 넘어선 최고의 도약국가로 일어서게 만드는 사람이라 그런듯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조선시대에 갈비구이는 왜 서민음식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상하던데로 그당시에는 고깃집에서 살코기만 바르고 뼈에 붙은 고기는 버리거나 가난한사람들이 구해서 여리를 해먹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서민들이 발전시킨 갈비구이가 오늘날에도 전해져오는듯 합니다ㅡ
학문 /
역사
23.10.21
0
0
한하운 시 '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 작품해석 좀 부탁려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 (한하운)아버지가 문둥이올시다/ 어머니가 문둥이올시다/ 나는 문둥이 새끼올시다/ 그러나 정말은 문둥이가 아니올시다.하늘과 땅 사이에/ 꽃과 나비가/ 해와 별을 속인 사랑이/ 목숨이 된 것이올시다.세상은 이 목숨을 서러워서/ 사람인 나를 문둥이라 부릅니다.호적도 없이/ 되씹고 되씹어도 알 수는 없어/ 성한 사람이 되려고 애써도 될 수는 없어/ 어처구니없는 사람이올시다.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 나는 정말로 문둥이가 아닌/ 성한 사람이올시다,(감상: 절통하게 문둥이가 아니라고 부르짖고 있다. 시인은 분명 성한 누구보다도 성한 시인이다. 시인의 시는 세상의 거대한 편견에 대한, 외침이자 저항이었으며 절규였다. '나는 정말로 문둥이가 아니올시다'는 나도 너희들과 똑같은 평범한 인간이란 말이다 이 못된 놈들아'라는 절규다) 그의 작품은 '한센병'이라는 절망적인 상황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감상으로 흐르지 않고 객관성을 가지며, 한마디 한마디 담담하게 서정적이고 민요적인 가락으로 힘주어 부르짖고 있다. 30여 년 전에 소록도에 갔는데 '한센'병의 잘못된 편견을 실제로 느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소록도는 천혜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어서 많은 감탄을 하였다. 특히 아름다운 나무들 사이에 한하운 시인 시비가 너무 인상 깊게 새겨져 있었다. '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를 읽으며 처절한 시구절이 가슴속에 충격으로 들어왔다
학문 /
미술
23.10.21
0
0
만리장성은 어떤계기로 쌓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최초의 장성은 초나라가 쌓은 장성이다. 초나라는 남방에서 광대한 영토를 영유하면서 그를 바탕으로 중원국가들의 영토를 빼앗으며 서서히 북진했다. 그렇게 얻은 영토 중에는 하남성 일대의 영토도 있었는데, 중원이라 불리는 하남성 일대는 국경으로 삼을 만한 자연경계가 없었다. 초나라가 차지한 이 영토는 삼면으로 다른 중원국가들에게 둘러싸여 있었으므로 초나라는 이 영토를 보호하기 위해 300km가 넘는 장성으로 영토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장성을 건설했다. 이것을 장성의 효시라 할 수 있다.이후 장성 건설은 전국시대 강대국들의 트렌드가 되었다. 전국시대 초기, 영역국가로서 재빠르게 변법에 성공한 위나라는 서쪽의 강국 진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서쪽에 장성을 쌓았다. 이 장성은 지금의 함곡관보다 훨씬 서쪽에 있으며, 지금의 서안시 동쪽에 위치한 화산 북쪽에 그 유적이 남아있다. 길이는 대략 60km 정도로, 진령산맥과 진북산맥을 잇는 형태로 건설했다
학문 /
역사
23.10.18
0
0
고려는 종친이 정치에 참여못하도록 했다고 하던데 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친의 득세가 결국은 왕권의 하락으로 국가의 존폐를 좌지우지 할 정도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과거의 안좋은 점을 거울삼아 고려땐 종친이 전혀 정차에 참여 못하게 했지요!
학문 /
역사
23.10.18
0
0
팔레스타인이 원래 살던 현재의 이스라엘땅은 왜 이스라엘이 차지 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벨푸어 선언(영국이 통치하던 팔레스타인 지역을 지역주민에게는 물어보지않고 이스라엘에게 살수있게 넘겨준 선언) 이때부터 아랍과 이스라엘의 전면전이 시작됨.
학문 /
역사
23.10.09
0
0
예전에 왕들은 권력을 지키기 위해 혈육을 죽이기까지 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은 절대권력으로 그 누구도 넘보지 못하게 강한 통치력과 위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또한 자격이 갖춰지면 누구나 넘보고 싶은 유혹적인 자리이지요...ㅋㅋ 또 그자리를 통해 추종하는 세력들이 붙어서 혼란과 반역을 일으키게 되지요... 이러한 현상은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는 어쩔수 없는 현상이라 우리나라와 같이 혈육을 죽이고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현상은 다같이 일어났습니다ㅡ 그 이면에는 절대권력유지와 나라의 혼란을 방지한다는 사상을 갖고 있지요.
학문 /
역사
23.10.09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