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 및 인플레이션 이유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전문가들이 말하는 주요 이유는 러우전쟁 및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국제 공급망 교란과 코로나 시기 각국에서 펼친 현금지급 정책으로 인한 시중 유동성 증가를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25
0
0
우리나라 금리는 언제쯤 내려갈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은행에서 금리를 결정할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중 하나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수준입니다.많은 전문가들이 내년 상반기부터는 미국 연준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다만, 미국 연준에서도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상황이나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해서 결정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경기침체 여부나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따라 금리인하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대출
23.04.24
0
0
러시아 전쟁이후 루블환율이나 경제가 안정적인이유??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에서 러시아에 대해 광범위한 제재를 가했지만 러시아의 우방국인 중국과 이른바 중립지대라고 불리는 인도, 브라질 같은 나라들이 러시아와 계속 교역을 하고 있어 러시아에 대한 제재 효과가 예상보다 미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4.24
0
0
수요가 증가하면 왜 대체재의 가격은 상승하고 보완재의 가격은 하락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거에 반대로 어떤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 대체재의 가격은 하락하고 보완재의 가격은 상승합니다.예를 들어 콜라의 수요가 증가하면 대체재인 사이다의 수요는 감소하니 사이다 가격이 하락하고요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보완재인 우유의 가격도 증가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4
0
0
스테이킹은 어떤걸 스테이킹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stake의 단어의미는 말뚝, (돈 등을)걸다 인데요. 은행 적금과 마찬가지로 코인을 일정기간 거치해 놓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4
0
0
주식에서 사용하는용어로 턴어라운드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시장에서 말하는 턴어라운드 종목이란 기업의 영업이익이 적자였다가 조직개혁과 경영혁신 등을 통해 영업이익이 개선되어 급등하는 종목을 일반적으로 이야기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0
0
0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의미?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그레샴의 법칙이라고도 하는데 금본위제 하에서 제시된 이론입니다.금을 통화로 사용하다 보면 사람들이 거래 시 품질이 좋은 금화는 집에 보관하려만 하고 품질이 나쁜 금화만 시중에 내놓다 보니 결국 시장에서 사용되는 금화는 악화만 사용된다는 얘기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20
0
0
금리를 올리면 왜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이 생산활동을 하는 것도 결국 투자인데 기업도 은행에서 돈을 빌려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근데 금리가 올라버리면 자연히 기업의 투자활동도 위축되고 그에 따라서 원자재 및 서비스 가격이 내려가고 고용 인원 감소로 인해 인건비 상승률도 내려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한번 올라버린 물가는 다시 내려가기가 힘들지만 지금 연준에서는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를 늦추려는 목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03
0
0
코로나가 완전히 종식되면 전 세계적으로 경제부흥도 함께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로나로 인해 각국의 경제활동이 많이 위축되긴 했지만 최근 리오프닝으로 인해 경제활동이 활발해진 것은 맞습니다.다만, 경제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코로나 이외에도 인플레이션, 미국 연준 기준금리, 각국의 부채문제 등 너무 많기 때문에 앞으로의 경제 향방을 코로나 종식 여부만으로 따지는 것은 힘든 측면이 있습니다. 현재도 많은 경제학자들의 경제전망이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31
0
0
미국은 예전부터 성장하여 주가가 우상향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기 때문에 아무도 장담은 못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미국이 가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파워가 워낙 대단하다 보니 향후 10~20년 간은 미국이 세계 패권국 지위를 계속 유지하고 기술발전에 따른 성장성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미국의 인구는 현재도 증가 추세이고 전 세계의 자본가들과 인재들이 미국으로 이민도 많이 가기 때문에 인구적으로도 미국에 유리한 환경이 지속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8
0
0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