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이안화칼륨은 왜 청산가리로 불렸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사이안칼륨의 경우 KCN을 화학식으로 하는 무기화학물질입니다.청산가리라는 용어는 일본어에서 유래 하였는데, 청산은 사이안화물을 가리는 칼륨을 지칭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2.08.18
0
0
절대 영도의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물리학에서의 이론적인 온도의 최저점은 0켈빈, 0K의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섭씨로 따졌을 경우 -273.15 도에 해당합니다.생명의 냉동유지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가능합니다.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기체들 예를 들면, 질소의 경우 -196도 이하에서 액체의 상태로 유지되고, 산소의 경우 -183도 이하에서 액체로 유지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18
0
0
물은 왜 얼면 부피가 팽창하나요.
안녕하세요.대부분의 물질은 고체 < 액체 < 기체로 상이 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데, 물의 경우는 액체상태에서 고체로 변화함에도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수소결합 때문인데, 이처럼 특수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하여 물이 고체화 될때 부피는 증가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18
0
0
지구에서 달의 뒷면은 볼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달의 경우 지구를 기준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게되는데, 이 때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한 쪽 면밖에 볼수 없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18
0
0
우리가 이사갈 수 있는 별을 찾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학자들의 발언에 따르면 전 우주에는 7X10에 22승개 이상의 별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여기서 별이란 태양과 같은 행성을 지칭합니다. 즉 이러한 별들 중 유사한 크기의 별과 또는 유사한 거리에 있는 지구와 같은 지적생명체가 살수 있을 만한 곳이 있을 확률이 상당히 높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발견을 하지 못했지만...문제는 현재 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별, 태양의 경우도 빛의 속도로 8분이상을 가야하며, 그다음 가까운 거리는 4.2광년 즉 빛의속도로 4.2년의 거리 내에 있는 프록시마 센타우리 입니다. 현재 인류의 기술로는 빛의 속도로 운행할 수 있는 우주선이 없기 때문에, 당장의 이사는 힘들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18
0
0
왼손잡이가 더 똑똑한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왼손잡이에 비해 오른손잡이의 빈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대부분의 시설 들도 오른손잡이에 맞춰 설계된 경우가 많습니다. 즉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손의 사용 빈도도 높을 수 밖에 없고, 왼손의 사용 빈도도 많기 때문에 좌뇌와 우뇌가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오른손 잡이가 지능이 낮다기 보단, 왼손잡이의 경우 좌뇌 우뇌의 발달이 골고루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들이 전달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18
0
0
수소에너지는 어떤점에서 친환경 에너지인가요?
안녕하세요.수소의 경우 물, 유기물, 화석연려 등의 화합물 형태에서 수소를 생산하게 되며, 이 중에서 물을 활용한 생산 시 물을 수전해 시켜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기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로 볼 수 있습니다. 수소의 경우 우주물질의 75%에 이를정도로 풍부한 에너지원 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2.08.18
0
0
달 모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ex)태양)이 아니므로, 태양의 빛을 반사시켜 우리의 눈에 비치게 됩니다.따라서, 태양과 지구 달의 위치에 따라서 빛을 받는 면이 다르므로 그에 따라 달의 형태가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보이는 모양은 지구안에서도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데, 남반구와 북반구에 따라 그 형태가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18
0
0
골프공에 있는 많은 홈들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골프공을 보게되면 표면에 작은 홈들이 많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딤플(dimple) 이라고 합니다.딤플이 없는 매끈한 공의 경우 공이 앞으로 나아감에 따라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뒤쪽으로 소용돌이가 생겨 앞으로 나아감에 있어 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오지만, 딤플이 있을 경우 그러한 소용돌이를 최소화 시킴으로써, 더 원 거리로 보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18
0
0
카본과 그래핀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카본과 그래핀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주셨는데요, 카본과 그래핀은 동일합니다. 동일하다기 보다는 여러 카본이 2차원으로 결합된 형태가 그래핀이라고 하는 물질입니다.카본은 여러가지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다이아몬드, 탄소나노튜브, 흑연, 그래핀 등이 있습니다. 그래핀의 경우 2010년 그래핀을 처음발견한 과학자들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흑연의 경우 그래핀이 여러겹 겹쳐진 물질로 층과 층사이는 반데르발스라는 약한 2차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흑연에서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한층을 떼어내어 발견한 물질이 그래핀입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17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